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 부과를 골자로 한 행정명령에 공식 서명했다. 이번 조치는 특정 국가의 부당한 무역 관행을 겨냥해, 그들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만큼 동일한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명 후 기자들에게 "그들이 우리에게 매기는 만큼 우리도 그들에게 매긴다. 결국 공정한 방식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명령에 따라 미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공동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이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루트닉 장관에 따르면, 보고서는 오는 4월 1일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그 결과에 따라 실제 관세 부과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루트닉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다른 국가들이 관세를 인하하면, 미국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이 줄어들고, 국내 생산이 늘어나며,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며 이번 조치의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했다.
이번 명령은 최근 발표된 중국,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신규 관세 조치와 맞물려 있다. 다만,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는 당초 예정된 3월 1일까지 보류된 상태다.
한편, 암호화폐 시장과 주식 시장은 과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큰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이번 발표 전에도 비트코인(BTC) 가격은 급락하며 $100,000 아래로 떨어졌고, 이더리움(ETH) 또한 24시간 내 22억 달러(약 3조 1,900억 원) 규모의 청산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30일간 유예한다고 밝힌 직후, 비트코인은 즉시 반등해 $101,731까지 회복했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 관세를 발표했을 때도 비트코인 가격은 $97,000에서 $94,000까지 하락했으나, 하루 만에 다시 회복세를 보인 바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을 키울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무역 환경이 개선된다면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시장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