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CNBC “트럼프, 밈코인 발행으로 암호화폐 투기장 만들어”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2025.02.03 (월) 08:08

대화 이미지 2
하트 이미지 2

분석 "BTC 도미넌스 60% 돌파...알트코인 급락 영향"
코인텔레그래프가 "도널드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영향으로 암호화폐 시장이 침체한 가운데 2일(현지시간) 비트코인 도미넌스(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가 60%를 넘어섰다"고 전했다. 미디어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 부과 절차에 들어가자, 상대국들도 이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 이로 인해 지난 7일 간 ETH, XRP, SOL 등 알트코인 가격이 10% 이상 하락하면서 BTC 도미넌스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분석 "트럼프발 '관세 전쟁', 장기적으로 BTC에 호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와이즈 알파 전략 책임자 제프 파크(Jeff Park)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시킨 관세 전쟁이 장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을 상승 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관세 전쟁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심화할 경우 전세계적으로 통화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의 무역 상대국에서는 비트코인과 같은 가치 저장 자산을 찾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재무부 장관 "암호화폐 규제 완화 검토 중"
아자이 세트 인도 재무부 장관이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관련 정책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부 국가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태도를 수용적으로 바꾸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는 국경을 초월하기 때문에, 인도도 일방적인 입장을 고수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인도는 암호화폐에 엄격한 규제를 적용해왔다.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45.2% "美 규제로 USDT 상폐되어도 시장 영향 미미"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6%(전주 47.8%)가 다음 주 비트코인이 상승 혹은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횡보를 예상한 응답자는 40.3%(전주 34.0%), 하락과 급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17.1%(전주 18.4%)를 차지했다. 시장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44.6%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혹은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40.6%, 공포 혹은 극단적 공포라고 답한 비중은 14.8%로 집계됐다. 최근 코인베이스 CEO가 미국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를 규제할 경우 부득이하게 테더(USDT)를 상장폐지할 수도 있다고 시사한 것과 관련, 응답자 중 가장 많은 45.2%가 "USDC 등 대안이 존재해 시장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41.5%는 "엄청난 악재로 시장 급락을 야기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나머지 13.3% "모르겠다"고 답했다.

BTC $101,000 하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1,000 달러를 하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0,980.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김치프리미엄 6.1% 기록
BTC 김치프리미엄 6.1% 기록.
업비트 = 157,526,000 원
바이낸스 = 148,533,520 원
USDT = 1,545 원

CNBC “트럼프, 밈코인 발행으로 암호화폐 투기장 만들어”
미국 유력 경제방송 CNBC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밈코인 출시로 암호화폐 시장을 사실상 투기장으로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매체는 “트럼프 당선 직후 뜨거웠던 기대감이 이제는 그가 암호화폐 겨울의 씨앗을 뿌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로 바뀌고 있다. 그간 암호화폐 업계는 ‘온라인 카지노’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노력하고, 건실한 프로젝트들의 성장을 독려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쏘아올린 밈코인 광풍은 이같은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이번 사이클에서 새롭게 유입된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고 건실한 기업과 개발자들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년 전 BTC 현물 ETF 출시는 암호화폐의 기업공개(IPO)였고 기관 투자자의 자금도 대거 유입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당시와 비교해 지금은 암호화폐가 오히려 퇴보했다고 보고있다. 특히 큰 문제 중 하나는 블록체인이 투기적 거래 이외의 유의미한 사용사례를 아직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밈코인 TRUMP를 출시했고, 곧이어 그의 부인 멜라니아도 밈코인 MELANIA를 출시한 바 있다.

퍼지펭귄, 라인프렌즈 미니니와 파트너십
유명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PENGU)이 X를 통해 라인프렌즈 미니니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올 1월 DEX 현물 거래량 $4541억 ‘사상 최대’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 DEX 현물 거래량이 4,541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는 전월 3,238억 달러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가장 많은 현물 거래량을 기록한 DEX는 레이디움(Raydium)으로 나타났다.

미 인디애나주, 퇴직연금 ‘BTC 현물 ETF’ 투자 허용 법안 발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퇴직연금(retirement fund)으로 BTC 현물 ETF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됐다.

미국 15개 주, 비트코인 전략준비금 법안 추진중…유타·애리조나 선두
비트코인 매거진에 따르면 현재 미국 15개 주가 비트코인 전략준비금 비축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애리조나와 유타주는 법안 처리 절차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주 모두 백악관 및 상원 심사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배리언트 CLO “미 SEC, 암호화폐 기업들과 생산적 대화 시작”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배리언트 최고법률책임자(CLO) 제이크 체르빈스키가 X를 통해 “암호화폐 기업들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건설적인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는 사상 거의 처음 있는 일이다. 우리는 미국에서 암호화폐 잠재력을 이제서야 조금 보고있는 것이다. 향후 몇 년은 엄청난 일들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1월 CEX 현물 거래량 $2.32조...바이낸스 1위
더블록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 중앙화 거래소(CEX)의 현물 거래량이 2.32조 달러를 기록했다. 이중 바이낸스의 현물 거래량이 8011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고 크립토닷컴(2730억 달러), 바이비트(2333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분석 "美 실업률 유지 시 BTC $15만까지 상승 가능"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인투더크립토버스 설립자인 벤자민 코웬(Benjamin Cowen)이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음주 발표될 미국의 고용 데이터가 향후 몇 달 간의 BTC 가격을 좌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오는 2월 7일(현지시간) 발표되는 미국 실업률이 지난달과 비슷한 4.1~4.2% 수준을 유지한다면 BTC가 강세 전환할 수 있다. 최소 12만 달러에서 최대 15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올해 2월 또는 3월에 랠리가 펼쳐질 경우 BTC가 몇 달 안에 사이클 최고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사이클의 최고가는 2021년 4월에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코인 TOP 10 주간동향]액세스프로토콜(ACS) 50%↑...테더(USDT) 매수 체결 강도 선두

비트코인 점유율 60% 돌파, 알트코인 약세 지속

댓글

2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사계절

09:23

등급 아이콘

토큰부자

08:26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2.03 09:23:3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2.03 08:26:43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