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논의하는 '서울메타위크 2022'가 4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선 웹3.0(Web3.0),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규제 등 다양한 주제를 두고 업계 전문가 40여 명이 연사로 나섰다.
윤창현 국민의힘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은 개막식 축사를 통해 "블록체인은 사회 전반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 잠재력을 가진 기술"이라며 "국회에서도 안전하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위해 법적, 제도적 초석을 다져가겠다"고 말했다.
◇웹3.0의 강점은 '유저와의 소통', 약점은 '정보 부족'
컨퍼런스 첫 세션이었던 '블록체인과 웹3.0에 대한 탐색'에서 윤주호 링게임즈 대표는 웹3.0의 강점으로 유저와의 소통을 들었다.
윤 대표는 "웹3.0은 유저와 직접 소통한다는 점이 기회라고 본다"며 "유저와 소통하면서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것 자체가 프로젝트 구축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훈 메타버스월드 대표는 "블록체인은 쉽게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좋은 인프라"라며 "디지털 결제 인프라가 없는 지역에서 블록체인은 자생적인 글로벌 인프라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윤 대표는 "웹3.0 전환 과정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정보 부족"이라며 "사례마다 알아야 할 것도 다르고, 해외와 직접 소통해야 하는 부분도 어려움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도 "내부에 법무팀을 만들 만큼 매일 법률 이슈와 부딪히고 있다"면서도 "명확한 답을 찾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고 덧붙였다.
◇윤곽 드러나는 전 세계 가상자산 규제...한국도 서둘러야
전 세계 규제 당국이 가상자산 산업 제도화에 나서는 만큼, 한국도 입법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조원희 법무법인 디라이트 대표변호사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가상자산 입법화에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됐으나, 현재 논의가 더딘 상황"이라며 "지금이라도 입법 주체를 명확히 하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조 변호사는 유럽연합의 미카(MiCA), 미국의 '책임있는 금융혁신법안(RFIA)'을 언급하며 "한국도 입법화를 지체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박신애 크로스앵글 리스크매니지먼트 본부장은 "가상자산 프로젝트의 공시를 각 거래소가 별도로 관리한다면 불필요한 자원낭비와 정보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온·오프체인 데이터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진 = (왼쪽부터) 캐슬린 킴 변호사, 조원희 변호사, 박신애 쟁글 본부장
◇웹3.0 통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구현한다
이날 기조연설에 나선 정상호 델리오 대표는 "웹3.0은 웹2.0의 한계를 해결하고 성장을 촉진할 탁월한 솔루션"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현재 웹2.0 생태계 내 많은 플랫폼과 서비스가 있지만 질적, 총량적 성장은 멈춘 상태"라며 "주주 자본주의와 같은 기업 형태의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웹3.0이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를 기술적으로 구현할 방안이라고 말했다. 기존 기업 운영자, 소유자만 이익을 누리는 구조에서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가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유저가 직접 경제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웹3.0의 필수 요소"라고 덧붙였다.
사진 = 정상호 델리오 대표 / 토큰포스트
◇'대중화'에는 '친숙함'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산업의 대중화를 위해선 친숙하고 쉬운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조동현 언디파인드랩스 대표는 "많은 기술 진보가 있었음에도 대중이 디파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디파이가 친숙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대중에게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콘텐츠와의 융합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지훈 붐코커뮤니케이션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도 "대중과 기술이 직접 만나는 접점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며 기술을 고민하지 않을 때, 대중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