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Web3 AI Agent Flow ①] AI가 사고하고 블록체인은 증명한다...새로운 디지털 인프라의 출현

3
4

블록체인의 신뢰성과 AI의 지능을 결합한 Web3 AI Agent Flow는 기술의 복잡성을 감추고 자연어 기반의 사용자 경험을 전면에 세운,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의 전환점이다.

TokenPost Ai

토큰포스트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이 디지털 인프라의 구조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에 주목합니다. ‘Web3 AI Agent Flow’ 시리즈는 기술이 기술을 이해하고, 신뢰를 검증하며, 사용자 경험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흐름을 짚어보는 연재입니다. 총 6편에 걸쳐 진행되는 이번 기획은 Web3 시대, 기술이 배경으로 물러나고 사람이 중심이 되는 플랫폼의 가능성을 모색합니다.​ [편집자주]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을 견인하는 두 축이 마침내 같은 방향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하나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신뢰를 보장하며, 다른 하나는 데이터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가진다. 지금까지는 각자의 분야에서 발전해온 이 기술들이 최근 들어 하나의 시스템 위에서 맞닿고 있다. 그 중심에는 ‘Web3 AI Agent Flow’라는 새로운 개념이 자리잡고 있다.

Web3 AI Agent Flow는 사용자가 블록체인을 직접 다루지 않고도, 자연어 하나로 복잡한 서비스를 요청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 인프라다. AI는 사용자의 요청을 이해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호출하며, 블록체인은 그 과정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검증한다. 기술은 전면에서 사라지고, 사용자 경험은 한층 더 직관적으로 재편된다.

블록체인 구조 위에 세워진 에이전트 생태계

Web3 AI Agent Flow는 블록체인 Layer 3를 중심으로 작동한다. 블록체인은 보통 세 가지 계층 구조를 가진다. Layer 1은 합의와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하는 기본 인프라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여기에 해당한다. Layer 2는 롤업, 사이드체인 등의 기술을 통해 성능과 확장성을 보완하는 계층이다. 그리고 Layer 3는 사용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가 구현되는 계층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Layer 3는 진입 장벽이 높았다. 대부분의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지갑 설치, 서명 절차, 계정 생성 등 복잡한 기술적 과정을 요구했고, 사용자 경험은 친절하지 않았다. Web3 AI Agent Flow는 이러한 구조를 재정의한다. AI 에이전트가 사용자 대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며, 블록체인은 그 실행을 보증하고 기록하는 역할을 맡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내일 오후 3시에 강남역에서 택시를 예약해줘”라고 요청하면, AI는 위치, 시간, 스케줄 등의 조건을 파악해 적절한 택시 호출 서비스를 찾고, 이를 실행한다. 이 과정은 블록체인 Layer 3 플랫폼을 통해 실행되며, 트랜잭션 형태로 기록되어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도 확보된다.

단순한 챗봇이 아닌 ‘행동하는 AI’

Web3 AI Agent는 단순한 자동화 도구나 챗봇이 아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자연어를 해석해 일련의 실행 절차로 전환하고, 다양한 앱과 데이터를 오케스트레이션하는 지능형 에이전트다. 이들은 Agent-to-Agent(A2A) 방식으로 서로 호출하고, Model Context Protocol(MCP)을 통해 다양한 앱의 컨텍스트를 공유하고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이 구조에서는 LLM(Large Language Model)과 ML(Machine Learning) 모듈 간의 연산이 분리돼 있으며, AI Agent는 이 둘을 조율하는 오케스트레이터 역할을 맡는다. 사용자의 요청이 LLM에서 해석되면, 필요한 ML 모듈이 호출되고, 최종 결과는 블록체인 트랜잭션 형태로 서명 기록된다. 이는 AI의 사고 구조 자체를 블록체인 위에서 증명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시도다.

모든 실행은 Layer 2 체인에 롤업되며, 트랜잭션은 트리 구조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복잡한 요청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각 단계의 결과와 상태 변화는 모두 기록된다. 신뢰와 유연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구조다.

AI 마이닝, 연산력의 분산화와 인센티브 구조

이 인프라가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연산 자원이 필요하다. 기존 AI 인프라는 대형 클라우드에 집중돼 있어 확장성과 비용 문제를 동시에 안고 있다. Web3 AI Agent Flow는 이에 대한 해답으로 AI 마이닝이라는 구조를 도입했다.

AI 마이닝은 GPU 자원을 가진 사용자가 AI 추론이나 학습 작업에 자신의 자원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토큰 형태의 보상을 받는 구조다. 이는 블록체인 마이닝과 유사하지만, 대상이 AI 연산이라는 점에서 한 단계 진화된 형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연산 제공자에게 자동으로 보상이 지급되며, 전체 생태계는 더욱 자율적이고 분산화된 형태로 진화한다.

이를 통해 AI 인프라는 특정 기업이 아닌, 다수의 개인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구조로 전환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단지 소비자가 아니라, AI 인프라의 공급자이자 운영자가 된다. Web3가 그리는 탈중앙화 철학이 AI 분야로 확장되는 구조다.

기술을 감추고, 경험을 전면에 세우는 UX 혁신

Web3 AI Agent Flow가 제시하는 가장 직접적인 가치는 사용자 경험의 혁신이다. 기술을 익혀야 했던 시대에서, 이제는 기술이 사용자의 언어를 배우는 시대가 되는 것이다.

명령어 대신 자연어, 인터페이스 대신 대화. 사용자는 익숙한 방식으로 요청을 전달하고, 시스템은 이를 자동으로 해석하고 실행한다. 기술은 조용히 배경으로 물러서며, 사용자는 오직 결과에만 집중하면 된다. 이러한 변화는 UX 측면에서 Web3의 대중화 가능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과 행동 이력은 블록체인 위에 안전하게 기록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 주권을 되찾고,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AI와 블록체인 기술이 결합하여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데이터 신뢰 구조다.

새로운 생태계로서의 가능성

Web3 AI Agent Flow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이는 하나의 플랫폼이며, 더 나아가 새로운 디지털 생태계의 출발점이다. AI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이 플랫폼은 다양한 개발자와 기업들이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분산된 AI 에이전트는 다양한 서비스와 연결되며, 이들은 상호 작용을 통해 더 정교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 생태계가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확장됐듯, Web3 AI Agent Flow도 Layer 3 플랫폼을 기반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AI 마이닝 구조와 결합되면, 참여자들은 자신이 기여한 연산 자원만큼 보상을 받고, 전체 시스템은 자율적으로 유지된다. 기술과 경제 구조가 결합된 이 플랫폼은 향후 Web3 서비스 설계의 핵심 모델로 주목받을 수 있다.

Web3, 기술이 사라지는 사용자 중심 시대로

Web3 AI Agent Flow는 기술의 한계를 상호 보완하며, AI는 사고하고 블록체인은 이를 증명하는 구조를 실현한다. 기술은 점점 더 보이지 않게 작동하고, 사용자 경험은 직관적으로 재편된다. 이 인프라는 Web3의 실질적인 대중화를 가능케 하는 실마리이자, 디지털 경제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는 새로운 설계도다.

📝 이 글은 토큰포스트 ‘Web3 AI Agent Flow 시리즈’ 6부작 중 첫 번째 기사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해당 인프라를 구성하는 기술적 요소와 AI Agent의 작동 구조를 자세히 분석합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3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사계절

18:38

등급 아이콘

위당당

17:01

등급 아이콘

엠마코스모스

15:02

등급 아이콘

1mini

14:01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23 18:38:1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5.04.23 15:02: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4.23 14:01:28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