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디지털자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보관과 보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기관 투자자는 물론 개인 투자자들 역시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에 따라, 토큰포스트 북클럽은 조진석 저자의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보관의 핵심 개념과 최신 동향을 분석하는 연재 시리즈를 선보인다. 이번 연재에서는 커스터디 서비스의 개념, 최신 기술 트렌드, 글로벌 규제 변화, 주요 기업들의 전략 등을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디지털자산 시장의 미래를 결정할 커스터디 서비스의 흐름을 놓치지 않도록, 매주 새로운 인사이트를 토큰포스트에서 만나볼 수 있다.
디지털자산을 보관하는 방식은 투자자의 보안 전략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온라인 환경에서 즉각적인 거래가 가능한 ‘핫 월렛(Hot Wallet)’과 오프라인 상태에서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는 ‘콜드 월렛(Cold Wallet)’이 그것이다.
디지털자산 시장이 성장하면서 투자자들은 자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보관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해킹 위협이 높아지는 환경에서 어떤 월렛이 더 적절한지, 그리고 기관 투자자들은 어떤 방식을 선호하는지 살펴본다.
콜드 월렛 – 보안을 최우선으로 한 자산 보호
콜드 월렛은 인터넷과 완전히 분리된 환경에서 디지털자산을 보관하는 방식으로, 해킹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안전한 보관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적인 형태로는 하드웨어 월렛(Hardware Wallet), 페이퍼 월렛(Paper Wallet), 철판 월렛(Metal Wallet) 등이 있으며, 거래소 해킹이나 네트워크 공격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기업 및 기관 투자자들은 대량의 디지털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주로 콜드 월렛을 사용한다.
콜드 월렛의 가장 큰 장점은 해킹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점이다.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원격 공격이 불가능하며, 자산을 장기적으로 보관할 경우 최적의 선택이 된다. 다만, 사용 편의성이 낮고 거래가 필요할 때마다 오프라인 환경에서 서명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실시간 거래에는 불편함이 따른다.
핫 월렛 – 빠른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보관 방식
핫 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에서 운영되는 디지털자산 지갑으로, 즉각적인 거래와 자산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모바일 지갑, 웹 지갑, 소프트웨어 지갑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며,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월렛 역시 핫 월렛의 일종이다. 즉시 자산을 송금하거나 거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지만, 보안 위협이 크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핫 월렛의 가장 큰 위험 요소는 해킹이다.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피싱 공격, 악성코드 감염, 거래소 해킹 등 다양한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규모 자산을 핫 월렛에 보관할 경우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대형 투자자들은 보통 일부 자산만 핫 월렛에 보관하고 나머지는 콜드 월렛을 이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기관 투자자들은 어떻게 자산을 관리할까?
기관 투자자들은 보안과 거래 편의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핫 월렛과 콜드 월렛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대량의 자산은 콜드 월렛에 보관하여 보안을 유지하고, 거래를 위한 소량의 자산만 핫 월렛에서 운영하는 방식이 선호된다. 거래소들도 해킹 위험을 줄이기 위해 고객의 자산 중 대부분을 콜드 월렛에서 보관하고, 일부만 핫 월렛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글로벌 커스터디 업체들은 보안성과 거래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다중 서명(Multi-Sig) 기술과 MPC(Multi-Party Computation) 기술을 적용하여 자산을 분산 관리하는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핫 월렛의 해킹 위험을 줄이면서도, 거래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전략을 활용한다.
마무리 – 투자자별 최적의 보관 전략은?
디지털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은 투자자의 성향과 보안 필요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장기 보관을 원하거나 기관 투자자로서 대규모 자산을 관리해야 한다면 콜드 월렛이 필수적이며, 빠른 거래가 필요한 개인 투자자는 핫 월렛을 활용할 수 있다.
최상의 보안 전략은 핫 월렛과 콜드 월렛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거래소나 기관 투자자들은 이 방식을 통해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으며, 개인 투자자들도 자산 보호를 위해 이러한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저자 소개 –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는 금융 IT 전문가
이 연재 시리즈의 기반이 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는 KB국민은행에서 28년간 IT 및 금융 혁신을 이끌어 온 조진석 저자의 경험과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한다. 조진석 저자는 인터넷뱅킹, 데이터베이스 관리, IT 아키텍처 설계, 정보보안 등의 다양한 금융 IT 분야를 경험했으며, KB금융지주 IT신기술혁신센터 초대 센터장으로 AI, 머신러닝,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 금융 혁신을 주도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한 그는 2020년 해시드, 해치랩스와 함께 한국디지털에셋(KODA)을 설립하며 국내 최초의 제도권 커스터디 서비스를 구축했다. 이후 KODA에서 내부 통제 시스템, 자금세탁방지(AML) 체계, IT보안(ISMS) 등을 구축하고, 특금법에 따른 사업자 신고를 완료하며 국내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현재 KODA는 국내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며 금융권 수준의 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디지털자산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저자는 이를 통해 디지털자산 생태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더 깊이 알고 싶다면? 이 글은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의 현재와 미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