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발표한 무역 관세 정책 이후, 캐시 우드(Cathie Wood)의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가 상반된 투자 전략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BTC) 현물 ETF 일부를 매도한 반면,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이스(COIN)에 대한 투자 비중은 늘렸다.
코인데스크가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아크 인베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총 2,660만 달러(약 388억 원) 규모의 코인베이스 주식을 매수했다. 이 가운데 1,320만 달러 규모의 매수는 4월 7일, 나머지 1,330만 달러는 4월 4일에 집행됐다.
하지만 같은 날인 4월 7일, 아크는 자사 ARK 21셰어스 비트코인 ETF(ARKB) 지분 1,200만 달러(약 175억 원)어치를 처분했다. 해당 ETF는 지난 1월 미국에서 출시된 대표적인 비트코인 현물 ETF 중 하나다.
이번 매각은 ARK의 '차세대 인터넷 ETF(ARKW)' 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한 것으로, 하루 판매 규모로는 ARKB 관련 최대 수준이다. 이같은 움직임은 3월 3일 800만 달러, 2월 860만 달러에 이어 올해 들어 다섯 번째 대규모 매도 사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크는 여전히 ARKW를 통해 간접적으로 비트코인에 노출돼 있다. 4월 8일 기준, ARKW는 ARKB를 1억 4,200만 달러(약 2,075억 원)치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운용 자산의 11%에 달한다. 이 ETF는 여전히 ARK의 최대 비중 포트폴리오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전반은 매도세에 직면했다.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발표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한때 11% 급락하며 7만4,700달러까지 하락했다.
이 여파로 글로벌 비트코인 ETP에서는 최근 한 주 동안 2억700만 달러(약 3,020억 원)의 자금이 유출됐으며, 4월 7일 하루에만 1억900만 달러(약 1,593억 원) 규모의 추가적인 유출이 발생했다. 지난 3거래일 동안 비트코인 ETF에서 빠져나간 자금만 2억7,300만 달러(약 3,985억 원)에 달한다.
이러한 매도 압력에도 불구하고 아크 인베스트는 올해 들어 순 유입 자금이 여전히 플러스인 몇 안 되는 현물 ETF 발행사 중 하나다. 4월 4일 기준, 아크는 2025년 누적 기준으로 1억4,600만 달러(약 2,132억 원)의 순 유입을 기록 중이다.
블랙록의 아이셰어스(iShares)는 올해 32억 달러(약 4조 6,700억 원), 프로셰어스(ProShares)는 3억9,800만 달러(약 5,812억 원)의 순 유입을 기록하면서 아크와 함께 수익을 유지하고 있는 몇 안 되는 ETF 발행사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