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무역전쟁과 경기 불확실성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5년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40%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시장 분석가이자 코인뷰로 창립자인 닉 퍼크린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리스크 자산인 암호화폐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퍼크린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참모들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으며, 실제 가능성도 크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침체를 유도하려는 의도는 없지만, 연방정부 일자리 감축이나 예산 균형을 위한 지출 삭감 등의 정책이 경기 둔화를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경제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자들이 미국 시장을 떠나며 유럽 등 더 안정적인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달러지수(DXY)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무역 관세 조치는 암호화폐 시장에도 충격을 주었다. 특히 알트코인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했고, 비트코인은 1월 20일 고점(약 10만9천 달러) 대비 24% 하락했다. 이에 따라 재선 이후 낙관적이던 시장 분위기는 '극심한 공포'로 전환됐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200일 지수이동평균 아래에 머물고 있는 상태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Nansen의 니콜라이 손더고르는 관세로 인한 시장 압박이 2025년 4월까지 이어질 수 있으며, 관세가 해소돼야 시장 회복이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10x 리서치의 마르쿠스 티에렌 창립자도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관세에 대한 강경 발언을 완화한 2025년 3월부터 비트코인이 바닥을 다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