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효율성과 확장성 향상을 위한 최초의 탈중앙화 고성능 메모리 인프라 옵티멈이 11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15일(현지시간) 크립토뉴스에 따르면, 옵티멈(Optimum)이 암호화폐 투자 회사 원케이엑스(1kx)가 주도한 1100만 달러 규모의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투자에는 로봇 벤처스(Robot Ventures), CMT 디지털(CMT Digital), 스파르탄(Spartan), 피날리티 캐피털(Finality Capital), 트리톤 캐피털(Triton Capital), SNZ, 빅 브레인(Big Brain), CMS, 롱해시(Longhash), NGC, 애니모카(Animoca), GSR, 칼라단(Caladan), 리포지(Reforge) 등이 참여했다.
옵티멈 팀은 이번 투자금을 주요 생태계 전반에 걸친 통합, 비용 절감, 모든 L1 및 L2 블록체인의 확장성 향상, 노드 운영자를 위한 성능 개선에 사용할 예정이다.
옵티멈은 이 레이어를 구동하는 특허 기술을 발명한 MIT 교수 뮤리엘 메다드(Muriel Médard)가 공동 창립했다. 현재 옵티멈은 옵티멈P2P 플래그십 제품으로 비공개 테스트넷에서 운영 중이다.
발표에 따르면, 블록체인에는 효율적인 컴퓨팅에 필요한 메모리 레이어가 부재한 상황이다. 옵티멈이 바로 이 부분을 구축하고 있다. 팀은 이 기술이 데이터 저장, 접근, 배포 방식을 바꿀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탈중앙화되고, 더 빠르고, 더 저렴해질 것이다.
또한 블록체인은 모든 상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는 상호 연결된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여기에는 전체 노드에 대한 부담 증가, 혼잡한 멤풀, 예측할 수 없는 지연, 중복 데이터 전파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옵티멈은 "블록체인을 고속, 확장 가능한 컴퓨팅 네트워크로 전환하는 입증된 최적의 메모리 인프라"를 구축했으며 위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한다고 주장한다.
메다드는 "고성능 메모리가 블록체인 인프라에서 부족했던 연결 고리였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혁신은 연산과 실행에 집중되어 있어 데이터 접근과 네트워킹은 충분히 탐구되지 않았다.
그녀는 "확장 가능한 메모리 레이어가 부족한 부분을 제공하여 데이터 검색을 최적화하고, 혼잡을 줄이며, 블록체인이 탈중앙화된 인터넷의 중추 역할을 하는 데 필요한 속도와 효율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옵티멈 팀은 MIT, 하버드(Harvard), 메타(Meta)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의 새로운 메모리 레이어는 랜덤 선형 네트워크 코딩(Random Linear Network Coding, RLNC)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다. 이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인코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코딩 방식이다.
뮤리엘 메다드 교수는 RLNC를 개발했으며, 이는 현재 옵티멈의 핵심이다. 웹사이트에 따르면, RLNC는 "고급 형태의 이레이저 코딩"이다. 이는 데이터를 더 작은 청크로 변환하고 전송 전에 랜덤 선형 조합으로 인코딩한다.
팀은 "이 방법은 네트워크 효율성과 결함 허용성을 크게 향상시켜 일부 조각이 손실되더라도 데이터를 정확하게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한다.
원케이엑스의 연구 파트너인 웨이 다이(Wei Dai)는 RLNC 주변 기술이 "광범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옵티멈은 이미 옵티멈P2P 제품으로 운영 중이다. 이 프로토콜은 메모리 버스로 기능한다고 팀은 설명한다. 이는 코딩 기반 데이터 전파로 구식 가십 네트워크를 보완하여 중복성을 줄이고 모든 네트워크의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더불어 옵티멈 deRAM, 탈중앙화 RAM 레이어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 제품은 데이터 원자성, 일관성, 내구성을 보장하여 L1/L2, 검증자, 디앱, 최종 사용자를 위한 온디맨드 접근, 저렴한 저장소, 낮은 수수료를 가능하게 한다.
발표에 따르면, 팀은 "20년 이상 RLNC를 개선해왔다". 이 기술은 2022년 IEEE 코지 코바야시 컴퓨터 및 통신 상(IEEE Koji Kobayashi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Award)을 수상했다. 또한 공동 발명자인 메다드가 미국 국립 공학 아카데미(US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에 선출되고 국립 발명가 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Inventors) 펠로우로 인정받는 데 기여했다.
메다드는 2005년부터 MIT EECS의 NEC 의장이다. 그녀의 이력에는 미국 국립 공학 아카데미 회원, 미국 국립 발명가 아카데미 회원, 네트워크 코딩 및 안정적인 통신 연구 주도, 전 IEEE 정보 이론 학회 회장 직위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