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서티니아, AI로 서비스 딜리버리 자동화…2025 봄 릴리스 공개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서티니아가 2025년 봄 릴리스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고객 대응·리소스 할당 등 전반에 AI 기능을 대폭 적용했다. 향상된 자동화 도구는 기업 서비스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높인다.

서티니아, AI로 서비스 딜리버리 자동화…2025 봄 릴리스 공개 / TokenPost Ai

AI 기반 서비스 딜리버리 소프트웨어 전문 기업 서티니아(Certinia)가 2025년 봄 릴리스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능을 대폭 강화하며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있다. 세일즈포스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축된 이번 신기능은 프로젝트 관리, 고객 성공, 리소스 배분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조직 전반에 AI 자동화를 도입해 효율성 극대화를 노린다.

이전 명칭이었던 파이낸셜포스(FinancialForce)를 거쳐 브랜딩을 재정비한 서티니아는 이번 릴리스를 통해 생성형 AI 기능 두 가지를 시범적으로 도입했다. 'GenAI 리소스 요약'은 후보군의 경력과 역량을 요약해 리소스 매칭을 정교화하고, 'GenAI 고객 계좌 요약'은 고객 성향 분석, 리스크 지표, 향후 조치 제안 등을 기반으로 고객 성공 매니저(CSM)의 의사결정을 돕는다.

또한 조직 내 배치 이력과 인력 자원을 분석해 'AI 기반 역량 제안' 기능을 통해 리소스 관리자에게 최적화된 인력 구성을 지원하며, 최대 1,000건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한 '리소스 요청 자동화' 도구도 함께 선보였다. 서티니아 제품전략 총괄 크리스천 핀(Christian Finn)은 "리소스를 왜 선택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함께 단일 뷰에서 후보자들을 비교·배치할 수 있어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봄 릴리스에서는 ‘스마트 일정 재조정’ 도구도 새로 포함됐다. 프로젝트의 일정 변경 시 예산과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예측해 보다 유연하고 전략적인 자원 및 예산 관리를 가능케 한다. 기술 책임자인 라주 말호트라(Raju Malhotra)는 "AI 기반 기술은 갑작스런 변수나 인력 결원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며, 역량 기반 재배치가 중요한 사례에 특히 유용하다"고 말했다.

서비스 제품 판매를 위한 도구도 진화하고 있다. '재무 추정 요약(Estimate Financial Summary)' 기능은 프로젝트 개시 전 월별 수익과 비용 추정, 마진 분석 등을 통해 선제적인 운영 계획을 가능케 하며, 고정 단가나 시간·자재 기준 외에도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가격 책정 모델도 새롭게 운영된다. 말호트라는 "AI, 디지털 워커, IP 등을 접목한 새로운 추정 방식을 통해 기존의 견적 산정 패러다임을 재편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통합 포트폴리오 관리 기능이 강화되면서 하나의 고객이나 동일 프로젝트 관리자가 담당하는 프로젝트 그룹을 하나로 묶어 상태와 진행 현황을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들은 수작업으로 리포트를 구성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반적인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시간 기록 프로세스도 자동화된다. 'Suggest My Timesheet' 기능은 사전에 정해진 업무 스케줄을 기반으로 타임시트를 자동으로 채우며 사용자 개입을 최소화한다. 추가 인터페이스 개선은 시간 관리 업무의 정확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서비스 초기 단계부터 고객 KPIs(핵심 성과 지표)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돼, 고객 여정 전반의 정량적 추적이 가능해졌다. 지역별 가용성, 역량, 작업량에 따른 자동 리소스 배분이 가능해진 점 역시 주목을 받고 있으며, CSM들은 고객별 활동 분포와 리소스 사용 현황을 실시간 대시보드에서 시각화할 수 있게 됐다.

서티니아는 이번 최신 릴리스를 통해 AI를 서비스 딜리버리 전 과정에 내재화하며 조직의 확장성과 실행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AI 기반 자동화와 예측 기능을 조합한 이번 접근 방식은 향후 기업 서비스 시장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워런 상원의원 경고 "트럼프, 파월 해임 땐 美 시장 붕괴 가능"

美 연방검찰, 세이프문 전 CEO 형사 기소 강행… 법무부 새 정책에도 예외 적용

美 캐너리캐피털, 트론(TRX) 현물 ETF 신청…스테이킹 수익 모델 포함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