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양자 컴퓨팅 혁명, 블록체인 보안 위협할까?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0 (월) 22:23

대화 이미지 0
하트 이미지 2

양자 컴퓨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금융, AI, 블록체인 보안까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강력한 연산 능력으로 기존 암호화 기술이 위협받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양자 컴퓨팅 혁명, 블록체인 보안 위협할까? / Tokenpost

양자 컴퓨팅이 최근 기술 업계에서 뜨거운 화두로 떠오르면서 주요 IT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 기존 컴퓨터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양자 컴퓨터는 방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며, 금융, 제약,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가져올 잠재력이 크다.

양자 컴퓨팅의 핵심 개념은 '큐비트(Qubit)'와 '중첩(Superposition)', 그리고 '얽힘(Entanglement)'이다. 큐비트는 기존 컴퓨터의 비트(bit)처럼 정보를 저장하지만, 0과 1의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어 정보 처리 속도가 획기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두 개 이상의 큐비트가 서로 강하게 연결되는 얽힘 현상을 이용하면 먼 거리에서도 동기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는 구글(GOOGL), IBM(IBM), 리게티 컴퓨팅(Rigetti Computing), 아이온큐(IonQ), 디웨이브(QBTS) 등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구글은 '시카모어(Sycamore)' 칩을 통해 양자 우위를 입증하며 기술력을 선보였고, IBM은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 확대에 나섰다. 리게티와 아이온큐는 각각 초전도 방식과 포획 이온 방식의 양자 컴퓨터를 개발 중이며, 디웨이브는 최적화 문제 해결을 위한 양자 어닐링(Quantum Annealing)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양자 컴퓨팅은 상용화까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특히 큐비트의 불안정성과 오류 보정 문제는 업계 최대 난제로 꼽힌다. 하지만 연구가 가속화하고 있으며, 향후 10년 내로 실용적인 양자 컴퓨터가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양자 컴퓨팅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경우 암호화폐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블록체인 기술이 사용하는 암호화 기법은 일반 컴퓨터로는 해킹이 어렵지만, 강력한 양자 컴퓨터가 등장하면 기존 보안 체계가 위협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비해 양자 내성 암호(Quantum Resistant Encryption)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일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한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양자 컴퓨팅은 여전히 초기 단계지만, 향후 산업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할 때, 가까운 미래에 양자 컴퓨터가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날이 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FADO

00:48

등급 아이콘

StarB

00:03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