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외신 "블랙록, 토큰화 사모펀드 출시 예정" 外

작성자 이미지
하이레 기자
7
15

외신 "폴리곤랩스, 스타벅스 파트너십 체결에 $400만 지불"

폴리곤(MATIC)랩스가 NFT 로열티 프로그램 스타벅스 오디세이 서비스를 위해 지난 2022년 400만 달러를 지불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보통 서비스를 제공하면 대가를 받지만 이번 사례는 그 반대다. 소식통은 스타벅스와 파트너십을 맺고 싶어하는 최소 3개 블록체인 프로젝트와의 경쟁에서 폴리곤랩스가 승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 주 스타벅스는 18개월간 실험한 스타벅스 오디세이를 중단했다. 폴리곤랩스는 현재 파트너십 체결보다 기술 혁신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영국, 암호화폐 시장 감시 비용 업계에 청구 예정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스테이블코인, 암호화폐 시장 감시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800만 달러를 회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업체에 비용을 청구할 예정이다.

이뮤터블 $1억 웹3 게임 펀드 조성

이뮤터블(IMX), 킹리버캐피털, 폴리곤(MATIC)랩스가 1억 달러 규모 웹3 게이밍 펀드 Inevitable Games Fund(IGF)를 조성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1년 전 이뮤터블, 폴리곤랩스는 웹3 게임 개발 가속화를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그레이스케일, ETH ETF에 스테이킹 기능 추가... 서류 제출

언폴디드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이 이더리움 신탁(ETHE) 관련 펀드 보유 이더리움을 스테이킹하고 이에 따라 수익을 내는 기능을 포함해 14A 서류를 제출했다. ETHE 보유자의 이익 보장을 위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앞서 피델리티 또한 스테이킹 기능을 포함시킨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신청 수정안(19b-4)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바 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ETH 현물 ETF, 5월 미승인 예상"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를 통해 이더리움 현물 ETF가 5월에 승인될 확률이 계속해 낮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더리움 ETF(승인 여부)에 대한 의견이 최근 몇달 간 변화했다. 이제 우리는 오는 5월 23일(현지시간) 이더리움 현물 ETF이 승인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한다"며 "비트코인의 경우 1월 승인 전 규제기관과 발행사 간에 광범위한 논의가 진행됐다. 반면 이더리움 현물 ETF은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앞서 그는 이더리움 현물 ETF가 5월에 승인될 확률은 35%라고 말한 바 있다.

미 SEC, 아크인베스트-21쉐어스 ETH ETF 승인 여부 결정 5/24로 연기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아크인베스트-21쉐어스의 이더리움 ETF에 대한 승인 여부 결정을 오는 5월 24일(현지시간)로 연기했다. 이와 함께 해당 상품에 대한 공개 피드백을 수렴한다고 발표했다. 이날 SEC는 해시덱스의 이더리움 현물-선물 혼합 ETF 승인 여부 결정 기한을 5월 30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캐나다 암호화폐 보유자 7% "해커 데이터 몸값 위해 암호화폐 구매"

온타리오 증권위원회(OSC)가 최근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 캐나다 암호화폐 보유자의 7%가 해커의 데이터 몸값 지불을 위해 암호화폐를 구매했다고 유투데이가 보도했다. 지난해 암호화폐를 이용한 해커의 데이터 몸값은 약 11억 달러로, 전년 대비 급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암호화폐 보유자 중 40%는 암호화폐를 현금 혹은 다른 암호화폐로 교환했다고 답했으며, 이중 실제 상품 혹은 서비스 구매를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한 비중은 18%에 불과했다.

美 SEC, 해시덱스 이더리움 ETF 심사 연기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해시덱스의 이더리움(ETH) 현물-선물 혼합 ETF 승인 심사를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시덱스는 지난해 9월 해당 ETF 상품의 승인을 SEC에 신청한 바 있으며, SEC는 두 차례 심사를 연기한 바 있다.

외신 "솔라나 기반 밈코인 '사전판매' 사기 급증...조달액 $1.5억 규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가 블록체인 전문가 잭XBT(ZachXBT)의 분석을 인용 "최근 밈코인 열풍으로 솔라나(SOL) 사용자들은 트위터 등 채널에서 광고된 33개 밈코인 사전판매(프리세일) 주소로 796,000 SOL을 이체했다. 이는 약 1억 4,920만 달러 상당이지만, 이러한 밈코인 프로젝트 중 대다수는 사기로 판명됐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봉크(BONK), 도그위펫(WIF), 북오브밈(BOME) 등 솔라나 기반 밈코인의 잇따른 성공으로 시장 내 포모(FOMO, 시장에서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공포감)는 극에 달하고 있다. 사기꾼들은 곧 밈코인을 출시할 것처럼 자금을 조달하고 그대로 러그풀(먹튀)한다. 익숙한 사기 시나리오지만 아직도 당하고 있는 피해자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외신 "블랙록, 토큰화 사모펀드 출시 예정"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은 토큰화 사모펀드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20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더블록은 "14일(현지시간) 블랙록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관련 증권 공모 신고서를 제출했다. 해당 신청서에 따르면, 펀드에 참여하기 위한 외부 투자자의 최소 투자액은 10만 달러로 나타났다. 다만 해당 상품의 구체적인 출시일은 명시되지 않았으며, 미국 마이애미 소재 규제 준수 디지털 자산 플랫폼 시큐리타이즈가 펀드 판매를 전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랙록의 해당 토큰화 자산 펀드는 이더리움(ETH) 네트워크를 통해 1억 달러 상당의 USDC를 시드 자금으로 유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분석 "1BTC로 1만 개 빅맥 구매 가능...BTC 버거노믹스 강력"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아크인베스트 소속 온체인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푸엘(David Puell)이 자신의 X를 통해 "2023년 말 기준, 1 BTC로 구매할 수 있는 빅맥 수가 처음으로 1만 개를 넘어섰다. 강력한 버거노믹스(빅맥지수를 통해 인플레이션 등 경제상황을 파악하는 것)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분석 "BTC 단기 약세, 美 FOMC 금리 결정 앞두고 리스크오프 정서 확산 탓"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K33 리서치의 수석 애널리스트 베틀 룬데(Vetle Lunde)가 "최근 비트코인 가격 하락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 회의를 앞두고 투자자들이 리스크오프(risk off, 시장 비관론 우세에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쏠리는 현상)를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시장은 만장일치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기준금리 동결을 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통제 실패는 금리 인하 결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번 FOMC 회의에서는 점도표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핀테크 기업 엘맥스 그룹(LMAX Group) 소속 애널리스트 조엘 크루거(Joel Kruger)는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자산 간의 상관관계는 낮은 상태지만, 연준의 매파적 입장으로 인한 리스크오프 정서는 암호화폐 시장까지 확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리서치 "알트코인, BTC 조정 중 회복력 뚜렷"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주간 분석 보고서인 '비트파이넥스 알파'를 통해 "비트코인이 조정을 진행 중이지만 알트코인 시장은 뚜렷한 회복력을 증명하며 안정적이었다"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비트코인 현물 ETF의 자금 유입세가 둔화되며 지난주부터 비트코인이 급격한 조정을 맞고 있다. 이러한 변동성에도 주요 알트코인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나타냈으며, 이는 비트코인→알트코인 자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음을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분석 "월스트리트,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BTC 선택하게 될 것"

블록웍스에 따르면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노엘 애치슨(Noelle Acheson)이 "미국의 재정적자가 급증하고 이자 지급액이 늘어나면 연준은 더 많은 달러를 발행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추세는 월스트리트로 하여금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선택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월스트리트가 새로운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비트코인 및 기타 자산에 눈을 돌릴 수도 있다. 전통 은행가 조차도 비트코인이 단지 투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렛저, '아이팟 개발자와 협업' 하드월렛 5월 출시

CNBC에 따르면 하드월렛 제조사 렛저가 새로운 하드월렛인 렛저 스택스(Ledger Stax)를 오는 5월 공식 출시(General Launch)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렛저 스택스는 아이팟 개발자 토니 파델(Tony Fadell)과 협력해 디자인한 것으로, 신용카드와 비슷한 크기에 무게는 약 45g으로 아이폰보다 가볍다는 설명이다. 외부에 거래 세부 정보가 표시된다. 앞서 렛저 스택스의 E-잉크 디스플레이 상 기술상 이슈로 인해 월렛 출시 및 프리오더 배송 일정이 1년 가량 연기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렛저 CEO 파스칼 고티에(Pascal Gauthier)는 "렛저 스택스를 위한 강력한 공급업체 라인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NFT파이, 재단 출범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NFT파이(NFTfi)가 공식 X를 통해 프로토콜 관리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해 재단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재단은 NFT파이 프로토콜 및 NFT파이 기술 스택 사용 촉진을 위해 다양한 이니셔티브와 인센티브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말 NFT파이 위원회를 구축할 예정으로 위원회는 NFT파이 프로토콜 개발을 관리하는 탈중앙화 커뮤니티를 위해 다오를 설립하게 된다. 최근 NFT파이는 플레이스홀더 VC(Placeholder VC)의 주도 하에 600만 달러 상당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스테이터스,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롤업 스테이터스 체인 출시 계획 발표

스테이터스 네트워크가 공식 X를 통해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롤업 스테이터스 체인(Status Chain) 출시에 대한 계획을 공식화했다. 스테이터스 네트워크는 "이 새로운 이니셔티브 제안은 활동량이 급증했을 때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해 가격이 책정되지 않도록 낮은 가스 수수료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거래당 목표 수수료는 1센트 혹은 그 이하"라고 설명했다.

옵티미즘, 이더리움 세폴리아 테스트넷서 결함 방지 테스트 진행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OP메인넷 개발사 OP랩스(OP Labs)가 이더리움 세폴리아(Sepolia) 테스트넷 상에서 결함 방지(Fault Proofs) 테스트를 19일(현지시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옵티미즘 및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기타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자금을 출금하는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증명 시스템 버전으로, 보안 안정성 확보를 위해 결함 방지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었다.

테더, 지난해 미국 로비지출 전년 比 두 배 이상 증가

DL뉴스에 따르면 테더가 지난해 미국 로비 지출을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USDT 발행사 테더 모회사 아이파이넥스(iFinex)의 로비 지출 비용은 1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0%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미국 로비 지출 규모 기준 3위에 올라섰다. 1위와 2위는 코인베이스, 블록체인 협회다. 테더 측은 "주로 교육 이니셔티브 육성과 정책입안자 및 규제당국의 지속적인 대화 참여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CEO "암호화폐, 단순한 자산 클래스 넘어 돈의 미래"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암호화폐는 단순한 자산 클래스를 넘어 돈의 미래"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오늘날 금융 시스템은 중개자, 높은 수수료, 비효율성 등으로 접근이 어렵고 불공평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돈의 미래는 개방적이고 무료이며 효율적인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한다. 즉 암호화폐는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술이며, 미국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암호화폐를 수용하고 암호화폐 관련 명확한 규제를 마련하는 것은 미국인이 할 수 있는 최고의 애국"이라고 설명했다.

S&P, USDM 스테이블코인 안정성 평가 발표... 3등급 '적절함'

더블록에 따르면 S&P 글로벌 계열사인 S&P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가 스테이블코인 안정성 평가 보고서를 발표, 마운틴 프로토콜(Mountain Protocol)의 USDM에 대해 적절(Adequate)하다고 평가했다.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시장 리스크, 준비금, 청산 매커니즘의 견고성, 거버넌스, 규제 프레임워크, 타사 종속성 등을 고려해 스테이블코인에 등급(매우강함 1등급, 약함 5등급)을 부여한다. USDM는 적절함 단계인 3등급을 부여받았으며, 앞서 보고서에서 USDC는 2등급(강함)을, USDT와 DAI는 4등급(제한적)으로 평가됐다.

홍콩 웹3페스티벌 "디지털 경제 허브 구축이 주요 아젠다"

홍콩 웹3 페스티벌 2024(Hong Kong Web3 Festival 2024)가 공식 채널을 통해 "이번 포럼의 주요 아젠다는 '홍콩을 디지털 경제 허브로 만들기 위한 여정'이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홍콩 웹3 페스티벌 측은 "포럼의 오후 세션에서는 아시아 스테이블코인 규제 환경, 웹3 및 암호화폐 관련 홍콩의 미래 계획, 아시아 디지털 경제 허브 도약을 위한 홍콩의 야망 등을 주제로 5개의 연설과 3개의 패널 토론이 마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제네시스, 채권자 상환 완료 후 SEC에 $2,100만 과징금 지불 조건부 합의

디크립트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대출업체이자 디지털커런시그룹(DCG) 자회사인 제네시스(Genesis)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2,100만 달러의 과징금을 지불하기로 조건부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제네시스는 이번 합의를 통해 채권자에게 채무 상환을 완료한 이후 SEC에게 과징금을 지불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디크립트는 "제네시스는 SEC가 제기한 어떠한 혐의도 인정하거나 부인하지 않았으며, SEC가 제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100만 달러의 과징금 지불을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SEC는 제네시스가 운영한 암호화폐 예치 프로그램 제미니언(Gemini Earn)이 미등록 증권 판매에 해당한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아이오텍스 기반 컴퓨팅 플랫폼 인페릭스, 자체 토큰 IFX 출시

사물인터넷(IoT) 결합 블록체인 플랫폼 아이오텍스(IOTX)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생태계 탈중앙화 GPU 컴퓨팅 플랫폼 인페릭스(Inferix)가 자체 토큰 IFX를 출시했다고 1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 인페릭스 측은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DePIN) 방면에서 데이터 집약적 모델은 상당한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하다. 인공지능(AI)의 경우에도 고성능 GPU 자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인페릭스는 크라우드소싱을 통핸 GPU 자원 공유로 AI 관련 컴퓨팅 성능의 병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폴리곤 네트워크, 솔브케어 지원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 솔브케어(SOLVE)가 공식 X를 통해 폴리곤(MATIC) 네트워크에서 SOLVE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스테이킹, ID 마켓플레이스, 개발 툴 등에서 폴리곤 생태계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3/27 COSMOSDYDX-USDC 거래지원

파생상품 거래소 코인베이스 인터내셔널 익스체인지가 X를 통해 "거래 지원 지역에서 유동성 조건이 충족되면 오는 3월 27일 18시 30분(한국시간) COSMOSDYDX-USDC의 거래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입금은 현시간부로 지원된다.

뱅크리스, 캘리포니아서 봉크리스로 사명 변경

암호화폐 뉴스레터·팟캐스트 플랫폼 뱅크리스(Bankless) 설립자 라이언 아담스(Ryan Adams)가 X를 통해 "캘리포니아에서 사명을 봉크리스(Bonkless)로 변경했다. 캘리포니아에선 은행을 사칭하지 않더라도 '뱅크'라는 단어가 사명에 포함되면 불법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외신 "아발란체 기반 밈토큰 센더, 러그풀 의혹"

우블록체인이 X를 통해 "아발란체 기반 밈 프로젝트 센더(SENDER) 토큰이 70% 이상 급락했다. 센더 모금 활동을 했던 X 계정 '4msener'이 삭제되며 러그풀(먹튀) 의혹을 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9.3만 AVAX(530만달러)를 모금했는데 이중 2만 AVAX는 유동성을 공급하는 데 사용됐고 7.3만 AVAX는 3개 주소로 전송됐다"고 전했다.

솔라나 설립자, SOL 관련 토큰 프리세일에 "멈췄으면 좋겠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X를 통해 "솔라나 공동 설립자 아나톨리 야코벤코(Anatoly Yakovenko)가 솔라나(SOL) 관련 토큰 프리세일에서 65.5만 SOL(1.22억 달러 상당)이 모금됐다는 통계를 인용해 '이런 일을 멈췄으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최근 X 등 커뮤니티를 통해 SOL 기반 밈코인 토큰 프리세일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OL 관련 토큰 프리세일 중 상위 3개 프로젝트는 스몰(Smole), 덱스터(Dexter), 슬러프(SLERF) 등이다.

탈중앙화 리스크 관리업체 우모자, 시드 라운드서 $200만 추가 조달

컨센시스 임원이 설립한 탈중앙화 리스크 관리업체 우모자(Umoja)가 시드 라운드에서 200만달러를 추가로 모금, 총 400만달러를 조달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번 라운드에는 코인베이스, 500글로벌, 블록체인 설립자 펀드 등이 참여했다. 우모자는 올초 200만달러를 모금한 바 있다.

번스타인 "BTC 조정은 일시적...저점 매수 기회"

더블록에 따르면 월스트리트 투자은행 번스타인이 "지난주 BTC 가격이 10% 이상 하락하면서 저점 매수 기회가 왔다"고 진단했다. 번스타인은 "조정은 일시적이고 건전하며, BTC 반감기를 앞두고 저점 매수 기회가 될 것이다. 반감기 전에 추가 조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후 강세를 회복할 것이다. 내년까지 지속되는 이번 사이클에서 BTC는 15만달러까지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패러다임·암호화폐 혁신위, 코인베이스-SEC 소송 의견서 제출

최근 코인베이스가 암호화폐 업계 규정 제정을 거부하는 등 자의적이고 변덕스럽게 행동했다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암호화폐 투자사 패러다임, 암호화폐 혁신위원회(CCI)가 코인베이스를 지지하는 내용의 아미쿠스 브리프(의견서)를 제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패러다임은 "SEC는 암호화폐를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비롯된 것처럼 취급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CCI는 "규제 명확성을 원하는 업계 관계자들은 SEC를 피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분석 "채굴자 BTC 보유량 2021년 4월 이후 가장 적어"

크립토퀀트가 공식 X를 통해 "비트코인 채굴자 보유량이 2021년 4월 이후 가장 적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 11월 이후 두드러진 채굴자 보유량 감소 추세는 시장 역학 관계 변화를 예고한다. BTC 가격은 상승하고 있지만 활성 주소 수는 그만큼 증가하지 않고 있다. BTC 단기 보유자의 수익 실현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전 최고점에서 관측된 패턴"이라고 덧붙였다.

블랙록 매니징디렉터 "BTC 현물 ETF, 억눌려 있던 수요 충족"

더블록에 따르면 블랙록 매니징디렉터 토니 아슈라프(Tony Ashraf)가 런던에서 열린 디지털애셋 서밋에서 "BTC 현물 ETF는 한동안 억눌려 있던 BTC 수요를 충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 급증의 배경에는 거시경제 환경 및 부의 변화, 업계 성숙, 규제 환경 개선 등이 있다"고 말했다.

스텔라 재단,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소로반에 $1억 투자

벤처비트에 따르면 스텔라개발재단(SDF)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소로반(Soroban) 개발 플랫폼에 1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스텔라 소로반은 지난 1월 출시됐으며 현재 190개 이상 프로젝트가 참여 중이다. 소로반은 속도, 확장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기존 전통금융에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댑(dApp)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크립토퀀트 대표 "BTC, 반감기 이후 채굴 비용 $3.7만...부담되는 수준 아냐"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가 X를 통해 "비트코인 시장은 반감기 이벤트가 아닌 현물 ETF에 따라 움직인다. 반감기 이후에는 채굴 비용이 두 배 증가, 채굴자들은 수익성을 위해 일정 가격을 유지해야 한다. 1 BTC 당 채굴 비용은 3.7만 달러로 상승하지만, (BTC의 시장가가) 6.3만 달러가 되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63,351.0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골드만삭스, 암호화폐 파산 기업 부실채권 투자 검토

더블록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디지털자산 글로벌 책임자 매튜 맥더모트(Mathew McDermott)가 런던에서 열린 디지털애셋 서밋에서 "골드만삭스가 암호화폐 파산 기업 부실채권(클레임)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미 투자를 단행했는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과거 암호화폐 시장은 개인 투자자들이 주도했지만 이제 기관들이 들어오면서 변화가 시작됐다. 이제 우리는 토큰화 분야에서 충분한 기회를 보고 있으며 향후 6~24개월 동안 이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덧붙였다.

스위스 시그넘 뱅크, $5,000만 상당 자사주 zkSync서 토큰화

더블록에 따르면 스위스 소재 디지털 자산 은행 시그넘(Sygnum)이 zkSync 개발사 매터랩스(Matter Labs)와 파트너십을 체결, 5,000만 달러 상당 자사주를 zkSync 블록체인에서 토큰화했다고 밝혔다. 시그넘 측은 "zkSync의 자사주를 토큰화한 것은 보안, 투명성 제고와 관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트와이즈 CIO "월가, ETH 현물 ETF 수용 준비 덜됐다... 시간 필요해"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운용사이자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비트와이즈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이 최근 런던에서 열린 한 암호화폐 관련 행사에서 "이더리움(ETH) 현물 ETF가 5월보다 늦게 출시되는 게 바람직할 수 있다. 월스트리트와 전통금융사들은 비트코인이라는 것을 이제 막 소화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암호화폐 ETF로 확장되기 전에 좀더 시간을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ETH 현물 ETF가 12월에 출시된다면 5월 출시 때보다 더 많은 자금을 끌어당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공급량 1% 보유...미실현이익 $60억

우블록체인이 X를 통해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이번 BTC 추가 매수로 전체 BTC 공급량의 1% 넘게 보유하게 됐다. 미실현이익은 약 60억달러"라고 전했다. 앞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전환사채 발행 및 현금으로 9245 BTC를 추가 매수했으며 현재 총 보유량은 21만4246 BTC라고 밝힌 바 있다.

EU 의회, 암호화폐 기업 실사 강화 자금세탁 방지법 통과

유럽연합(EU) 의회가 암호화폐에도 적용되는 자금세탁 방지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CASP, 가상자산 사업자)는 1,000 유로 이상의 거래를 수행하는 고객을 실사해야 하며, 불법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현금 결제 최대 한도가 1만 유로로 제한된다.

DWF랩스 설립자, 커뮤니티 암호화폐 프리세일에 경고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DWF랩스 공동 설립자 안드레이 그라체프(Andrei Grachev)가 X를 통해 최근 X 등 커뮤니티에서 나타나고 있는 암호화폐 프리세일과 관련한 경고를 내놨다. 그는 "프리세일을 위해 특정 주소로 암호화폐를 이체해 달라는 문구는 2017년 ICO 붐을 떠올리게 한다. 많은 사람들이 우연히 부자가 될 때 일어나는 일이며, 투자자들은 포모(FOMO, 시장에서 혼자만 뒤처지는 것 같은 공포감)에 휩싸이게 된다. (누군가가 수익을 봤다는 것은) 누군가가 잘못된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온체인 탐정 덱스터가 진행한 솔라나 기반 AI 신규 프로젝트 프리세일에 159,300 SOL가 모금된 바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9245 BTC 추가 매수

비트코인 현물 ETF 제외 단일 기업 기준 가장 많은 BTC를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나스닥 티커: MSTR) CEO인 마이클 세일러가 X를 통해 "6억 375만 달러 규모 전환사채 발행 및 현금으로 9245 BTC를 추가 매수했다. 평균 매수가는 67,382 달러다. 3월 18일(현지시간) 기준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1만4246 BTC(평단가 35,160 달러)를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 추가 매수를 목적으로 전환사채를 발행, 3월 18일까지 판매한다고 밝힌 바 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SEC, 팔라폭스 2,800억 원대 가상자산 폰지 사기로 기소

유럽판 GPT for 법률 나온다… 녹투아, 1,173억 투자 유치

댓글

7

추천

15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7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4.03.20 19:03:30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4.03.20 14:11:1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pickpia

2024.03.20 10:35:30

기사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지후왕

2024.03.20 09:20:42

뉴감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Sdc

2024.03.20 09:13:4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4.03.20 08:49:3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록담

2024.03.20 08:45:12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