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규제 기관들이 채굴업계 관련 규제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더블록에 따르면 최근 규제 당국은 채굴업체와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 제재 대상으로 올라 있는 주소들 간의 접촉 여부를 살피고 있다. 자금세탁과 테러자금조달 방지가 목적으로 일부 채굴업체들에 대해서는 후속조치 가능성도 제기됐다.
특이 이들 중 의심 트랜잭션 관련 정보 공개를 거부하는 기업들이 포함돼있어 더욱 의심을 사고 있다.
미 규제당국의 이같은 움직임은 중국과 북한에 대한 안보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내부에서는 최근 수년간 중국 암호화폐 채굴업체들이 몰려들고 있어 안보 위협 우려가 제시된 바 있다. 업체들이 마이크로소프트(MS) 데이터센터와 미 공군기지 인근에 채굴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타임즈는 "해당 채굴기업 중 한 곳이자 중국 채굴용 컴퓨터 제작업체 '비트메인'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MS 역시 채굴업체의 위치가 미 공군기지와 불과 1.6km 떨어져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관장하는 기지 인근이기 때문에 감시와 정보수집이 가능하다"고 우려를 내비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고 알렸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전력 채굴량이 상당히 미국 전기공급망에 타격을 입힌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대정전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며 실제로 중국에서도 전력 소비를 이유로 2021년부터 채굴을 불법화했다.
북한의 경우 총무성 직속 해킹조직 라자루스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다. 해킹 자금이 미사일 개발을 포함한 군사자금으로 이용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체이널리시스 블록체인 분석 기업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해킹한 암호화폐 규모는 약 17억 달러(약 2조2151억원)으로 집계됐다. 앤 뉴버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 비용의 절반 이상이 이를 통해 충당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라톤 디지털 채굴업체는 규제 강화 우려에 대해 "어차피 정부와의 싸움에서 이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규제 준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부분의 업계 임원들로부터는 비교적 순종적인 답변이 나오는 반면 "나는 블라디미르 푸틴과 시진핑의 거래 내역을 확인하지 않을 권리가 있지 않느냐"며 중국 채굴업체들로부터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왕 F2Pool 공동설립자는 이후 해당 내용을 삭제했으며 파운드라와 비아BTC 등의 업체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