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는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서울대 지능정보사회정책연구센터(이하 CISP),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개최한 '디지털 치유 정원 미래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10일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열린 디지털 치유 정원 미래 심포지엄은 '디지털 치유 정원'의 효과를 공유하고 향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디지털 치유 정원은 가상현실(VR) 기술을 활용해 거동이 불편한 교통 약자와 화재 및 사고 현장을 수습하며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소방 공무원의 심리를 치유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젝트다.
두나무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국립세종수목원·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VR 콘텐츠를 제작한 것으로, 직접 수목원이나 숲을 방문하지 않고도 나무를 통한 치유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날 행사에는 김동욱 서울대 CISP 센터장 교수, 황한찬·이민상 서울대 CISP 선임연구원 박사, 임익수 한신대 교수 등 국내 석학들과 박진성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실장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공공 부문 발표 세션에선 ▲가상현실 기술 활용을 위한 공공·민간 기관의 역할 ▲가상현실 기술 활용의 효과와 가능성에 대한 주요 연구와 시사점 등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디지털 치유 정원 1호점인 금천소방서와 2호점인 서울재활병원에서 측정된 데이터 분석 결과와 사용자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가 논의됐다.
이날 발표자들은 공통적으로 "공공 부문에서 VR 기술 활용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디지털 치유 정원’과 유사한 사례는 전무했다"며 디지털 치유 정원의 혁신적인 시도와 선도적인 역할에 대해 주목했다. 국립 수목원, 휴양림 등 물리적 공간의 제약이 있는 공공 서비스를 가상 공간으로 확장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호평했다.
실제 직업 특성상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디지털 치유 정원을 통해 심리적으로 치유되는 것을 느꼈다는 소방공무원 A씨의 사례가 소개되기도 했다. 하반신 장애로 거동이 불편했는데 타인의 도움 없이도 원하는 곳을 생생하고 편하게 경험할 수 있어 기분이 상쾌해졌다고 고마움을 표한 B씨의 사연도 공유됐다.
황한찬 서울대 CISP 선임연구원 박사는 "디지털 치유 정원 VR 프로그램을 입원 환자용, 소방관용 등과 같이 수요자 집단 특성에 맞게 제작할 때 실험 참여자의 부정적 감정이나 직무 스트레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이는 개인화∙맞춤화된 VR 치유 프로그램이 제작된다면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넘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민상 서울대 CISP 선임연구원 박사는 "VR 경험 개선은 단순 VR 콘텐츠 제공뿐만 아니라 콘텐츠 품질, 사용자 평가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이런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 경험이 쌓이고 개선되다 보면 디지털 치유 정원이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공공 부문 VR 도입에도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진행된 토론에서는 김동욱 서울대 CISP 센터장 교수, 정충식 경성대 교수, 고대식 목원대 교수, 이범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정환 스코닉 엔터테인먼트 부사장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배석해 디지털 치유 정원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수민 두나무 가치혁신실 팀장은 "나무가 주는 ‘치유’의 힘과 디지털 기술이 전하는 ‘선한 영향력’에 주목해 시작된 디지털 치유 정원이 스트레스 완화, 힐링 등 긍정적 성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큰 보람을 느꼈다"며 "앞으로도 두나무만의 고유 기술과 자원을 활용해 더 많은 분들에게 치유의 시간을 선사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나무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키워드 중 하나로 '나무'를 선정, 환경 보호 및 산림 복원에 힘쓰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가상 나무를 심으면 산불 피해지에 실제 나무가 식재되는 '세컨포레스트와 함께 하는 회복의 숲' 캠페인을 진행했다.
또한 지난 1월부터 3월까지는 멸종 위기 식물 보호를 위한 대체불가토큰(NFT)을 발행, 판매대금 및 수수료 전액을 멸종 위기 식물보호기금으로 조성했으며, 이어 4월에는 강릉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5억원의 성금을 기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