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올마이티 수이 풀스택

포필러스(Four Pillars)

2025.04.18 18:19:32

Key Takeaways

 

  • 수이는 실행, 합의, 스토리지, 네트워크, UX, 개발 툴링, MEV 처리 등의 기능들을 한데 묶은 풀스택 전략을 지향한다.

 

  • ‘땜질식’ 접근을 답습하지 않고, 각 레이어를 처음부터 다시 설계함으로써 중앙화 요소 및 설계 부채(design debt)를 최소화했다. 이 과정에서 철저한 제1원칙 사고를 접목해, 장기적인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 서브-세컨드 파이널리티를 달성하는 미스티세티(Mysticeti) V2, 선형 확장성을 제공하는 레모라(Remora), 온체인 대용량 스토리지 월루스(Walrus) + 씰(SEAL), 그리고 안전한 네트워킹을 위한 싸이온(SCION)이 서로 보완적으로 작동한다

 

  • 전용 콘솔 ‘수이플레이0X1(SUIPLAY0X1)’ 출시 및 70종 이상의 신규 타이틀 준비, TVL 20억 달러 돌파 등 게이밍 및 디파이 섹터에서 특히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 수이는 프랭클린 템플턴, 그레이스케일 같은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웹2 수준의 편의성과 웹3의 탈중앙화를 결합해 차세대 블록체인 인프라로 부상 중이다.

 

1. 월드 컴퓨터가 허풍이 아닌 체인

 

수이는 2025년을 기점으로 기존 암호화폐 업계의 틀을 깨뜨리는 풀스택(full-stack) 전략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미스텐 랩스(Mysten Labs)의 공동 창립자인 에이드니 아비오둔(Adeniyi Abiodun)은 “수이는 단순한 블록체인이 아니라, 인터넷을 위한 글로벌 운영 계층(Global Coordination Layer)”이라고 언급했는데, 이 평가는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수이는 실행(execution), 합의(consensus), 저장(storage), 네트워크(networking), 사용 편의성(UX), 개발 도구(dev tooling), 공정한 MEV 처리 등 보통은 별도로 다뤄지던 블록체인의 개별 핵심 기능들을 하나의 통합 플랫폼 안에서 유기적으로 결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를테면 서울의 게이머가 LA에 있는 AI 에이전트와 디지털 검을 교환하고 그 거래가 온체인에서 즉시 정산되는 시나리오를 상상해볼 수 있다. 또는 수천만 수억명의 사용자들이 지메일에 로그인하는 것처럼 일상적인 인터넷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스럽게 웹3로 온보딩하여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을 수이 네트워크를 통해 즉각적으로 거래할 수 있는 모습을 상상해볼 수 있다.

 

바로 이런 미래를 설계하는 것이 수이가 지향하는 풀스택 접근 방식이며, 탈중앙화된 방법으로 전세계 디지털 자산을 대규모로 처리하기 위해 제1원칙(first principles)에 입각하여 모든 계층을 구상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개인적으로 수이의 아키텍처를 분석할수록 이 체인이 어돕션 측면에서 이더리움 혹은 솔라나 수준에 도달하는 것은 물론, 어쩌면 이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느낀다. 많은 블록체인이 월드 컴퓨터(world computer)라는 이상을 내세우지만, 실제로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조와 설계 완성도를 갖춘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그렇기에 수이가 선보이는 이 풀스택 전략은 “단순히 거래만 빠른 체인”을 넘어 블록체인의 궁극적 비전에 가장 근접한 시도 중 하나로 보인다.

 

2. 제1원칙에 입각한 아키텍쳐 설계

 

‘제1원칙 사고’란 복잡한 문제를 가장 근본적인 요소로 분해하고, 기존 가정에 얽매이지 않으며, 새로운 해결책을 도출하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수이(Sui) 아키텍처가 지향하는 접근법이기도 하다.

Source: Medium (@Tayo Sadique)

 

수이의 핵심 개발진은 완전히 백지 상태에서 출발하여 트랜잭션의 실행과 확정 방식부터 데이터가 저장 및 전달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스택 내 전 계층을 제1원칙에 근거해 설계했다. 목표는 품질을 타협하지 않으면서, 산업 전반에 축적된 설계 부채(design debt)를 답습하지 않는 것이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블록체인은 이더리움 보안에 의존하는 L2 설계, 오프체인 스토리지, MEV 문제의 후순위 처리 등 땜질식 접근을 택해왔다. 반면 수이는 확장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코어 아키텍쳐에 통합함으로써 장기적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오늘날 인터넷을 떠올려보면, BGP나 TCP/IP 같은 프로토콜은 수십 년 동안 유지, 보수 과정을 거치면서 보안이나 확장성 측면에서 여러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라우팅 하이잭(route hijack)이나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문제 역시 근본적인 구조 탓에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블록체인 생태계 또한 유사한 한계를 지닌다. 과거의 기술적 선택들을 그대로 짊어짐으로써, 구조적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수이의 해답은 극단적 단순화(radical simplicity)다. 즉, 처음부터 다시 설계해 각 계층을 ‘올바른 방식’으로 구축하는 정공법을 택했다. 그 결과, 특정 기능들만 선별하여 수행하는 반쪽짜리 블록체인이 아니라, 차세대 웹을 뒷받침하는 통합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가까운 형태로 진화할 잠재력을 갖추게 된 것이다.

 

3. 하나의 스택에 모든 것을 담다

 

그렇다면 풀스택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할까?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아키텍처에서는 실행(Execution), 합의(Consensus), 스토리지(Storage), 네트워킹(Networking), 사용자 경험(UX), 개발자 도구(DX), 그리고 MEV 처리 같은 핵심 기능들을 각각 독립된 모듈로 다룬다. 그러나 수이는 이러한 기능들을 단일 아키텍처 안에 결합함으로써, 프로토콜 수준에서 상호 보완적이고 유기적인 운영이 이뤄지도록 설계한다. 아래는 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 실행 및 합의 (Mysticeti V2): 미스티세티(Mysticeti) V2는 속도 향상을 공유 객체(shared-object) 트랜잭션에도 확대 적용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기존에는 합의 도중 발생하는 오버헤드 탓에 공유 객체 트랜잭션을 상대적으로 느리게 처리했지만, V2에서는 암호 연산 부담을 줄이고 밸리데이터 간 통신을 최적화(DAG 병렬 처리 방식)하여 모든 트랜잭션이 동일하게 빠른 파이널리티를 구현하도록 설계했다.

 

  • 확장성 (Pilotfish & Remora): 수이는 수평적 확장(horizontal scaling)에도 집중하고 있다. 파일럿피쉬(Pilotfish) 연구에서 발전된 레모라(Remora)는 밸리데이터들의 업무를 여러 대의 머신에 분산하여, 하드웨어를 추가하면 TPS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구현한다. 이와 함께 프로그래머블 P2P 터널(Programmable P2P Tunnels) 기능을 도입해, 실시간 거래 혹은 게이밍 등에서 필요한 마이크로트랜잭션 들을 온체인으로 묶어서 한 번에 정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트랜잭션 부하가 폭증해도 네트워크가 병목에 빠지지 않고 확장 가능하며, 초고속 및 대규모 서비스들을 지원하기가 용이해진다.

 

  • 데이터 저장 (Walrus & SEAL): 수이가 접근 가능한 탈중앙화 스토리지 사이드체인(sidechain)의 개념인 월루스(Walrus)는, AWS 등 중앙화 솔루션 없이 기가바이트(gigabyte)부터 엑사바이트(exabyte)에 달하는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즉, AWS 등 중앙화 스토리지에 의존하지 않아도, 디앱이 이미지 및 AI 모델 등 고용량 파일을 체인상에 직접 저장 가능하다. 한편 SEAL은 여기서 암호화와 접근 통제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특정 권한을 가진 이용자만 파일을 열람·수정할 수 있도록 프로토콜 차원에서 제어함으로써, ‘탈중앙화 드롭박스(Dropbox)’에 가까운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 네트워킹 (SCION): SCION(Scalability, Control, and Isolation on Next-generation Networks)을 통합함으로써, 수이는 BGP 하이잭, DDoS, DNS 스푸핑 등 흔히 발생하는 인터넷 취약점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글로벌 검증자들이 SCION을 통해 연결되면, 인터넷 경로에서 일부 공격이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대체 경로를 마련해 전 세계적 규모에서 안정적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금융 혹은 게임 등 다운타임(downtime) 비용이 큰 영역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으로 평가된다.

 

  • 사용자 경험(UX) (zkLogin, Passkeys, KELP):

    • zkLogin: 시드 문구 없이 구글, 메타 등 웹2 계정으로 즉시 로그인 가능하도록 한다.

    • Passkeys: 생체 정보를 세션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매번 서명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트랜잭션을 실행할 수 있게 만든다.

    • KELP: 2FA, 소셜 복구(social recovery) 등의 안전장치를 제공해, 키 분실 시에도 계정을 복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웹2 수준의 간편함과 웹3의 셀프 커스터디 장점을 결합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개발자 경험(DX) (RPC 2.0, 수이 Move Prover, Bugdar, Move Registry, SDKs):

    • RPC 2.0: GraphQL 기반으로 개선되어, 더욱 직관적인 쿼리가 가능해진다.

    • 수이 무브 프루버(Move Prover): 스마트 컨트랙트 안전성을 검증함으로써 코드 신뢰도를 높인다.

    • Bugdar(AI 오딧 도구): 잠재적 취약점을 사전에 탐지하여, 보안 사고를 줄일 수 있게 지원한다.

    • 무브 레지스트리(Move Registry): 패키지 관리를 표준화한다.

    • 신규 SDK: SDK를 지원함으로써 수이에 디앱을 배포하는 과정을 일반 앱 개발 수준으로 단순화한다.

  • MEV 완화 (SIP-45 & 그 이후): SIP-45는 가스 입찰(gas bidding) 로직을 정제하여 거래 순서를 명료화하고, 악의적인 프런트러닝(front-running)을 최소화한다. 향후 요청이 들어오는 트래잭션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인 DAG 관측(dag observability)를 추가함으로써 수이는 MEV를 제로섬 경쟁이 아닌 공공재(public resource)로 만들어가는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위 기능 중 일부는 이미 구현된 상태이며, 나머지는 2025년 로드맵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올해 예정된 주요 기술 업그레이드를 상세히 살펴본다.

 

 

올마이티 수이 풀스택”와 관련된 아티클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4pillars.io/ko/articles/all-mighty-sui-full-stack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20,866,684 (+0.64%)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2,264,877 (+0.40%)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18 (-0.03%)
XRP 로고 XRP (XRP)
2,953 (+0.09%)
BNB 로고 BNB (BNB)
838,157 (-0.11%)
Solana 로고 Solana (SOL)
196,812 (+3.30%)
USDC 로고 USDC (USDC)
1,418 (0.0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24.1 (+1.67%)
TRON 로고 TRON (TRX)
343.9 (-0.94%)
Cardano 로고 Cardano (ADA)
889.4 (+1.79%)
왼쪽
2025 4월  19(토)
오른쪽
진행기간 2025.04.17 (목) ~ 2025.04.18 (금)

46명 참여

정답 87%

오답 13%

진행기간 2025.04.16 (수) ~ 2025.04.17 (목)

45명 참여

정답 69%

오답 31%

진행기간 2025.04.15 (화) ~ 2025.04.16 (수)

42명 참여

정답 71%

오답 29%

진행기간 2025.04.14 (월) ~ 2025.04.15 (화)

42명 참여

정답 88%

오답 12%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