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BloFin Research] 고래들의 특별 시장 브리핑: 보편적 관세 정책이 암호화폐 투자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블로핀 리서치(BloFin)

2025.04.10 14:37:24

 

앞으로 몇 달 동안 주식 시장과 알트코인 시장은 추가적인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반면 비트코인(BTC), 금, 원자재, 국채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일 수 있다.

트럼프의 보편적 관세 정책이 공식적으로 시행되면서, 이는 일정 부분 투자자들의 예상을 뛰어넘는 결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부 정책의 과학성과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누적 관세와 이차 관세가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한 현실이다. 심지어 펭귄 인형조차 10%의 관세가 부과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미국과 밀접하게 연결된 글로벌 무역 네트워크의 운영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응해 각국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가능성은 낮다. 대부분의 국가는 자국 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내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EU, 아시아 등), 자국 내 경기 부양책을 통해 방어에 나설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은 투자자들, 특히 자국 내 투자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관세로 인한 지역화(리저널라이제이션) 경향이 심화되면서 해외 투자에 따른 리스크와 국내 유동성 비용이 모두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글로벌 수요 감소에 따른 경기 정체나 원자재 수입 감소로 인한 수입 인플레이션 등 관세로 인해 발생하는 각국의 경제 재조정 역시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성과를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미국 달러에 강하게 연동된 자산에 대한 투자 축소와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의 본격적인 실행은 가까운 미래에도 지속될 수 있는 주요 흐름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미국 주식과 알트코인 등 달러에 밀접하게 연동된 자산들은 투자자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매도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자금은 머니마켓펀드, 채권, 원자재, 비트코인(BTC), 현금, 스테이블코인 등으로 몰릴 것으로 보인다. 이들 자산은 대부분 오프쇼어(역외) 자산이기 때문에,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역내 자산보다 충격이 훨씬 적다.

 

어떤 면에서는, 이는 마치 예전의 “아랍 상인” 또는 “상업은행 중심 무역 체계”가 부활하는 듯한 모습이다. 관세에 대한 우려로 인해 대규모 유동성이 역외 시장에 집중되면서, 이에 따라 브로커 수요, 리스크 관리, 거래비용 통제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흐름이 역외 시장의 활성화를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다.

 

암호화폐 투자자의 입장에서 보면, 선택지는 BTC, 금 연동 토큰, 그리고 스테이블코인 정도로 한정된다. BTC는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도 달러와의 연동성이 비교적 낮고, 일정 부분 “대체 결제 시스템”으로 간주될 수 있는 자산으로, 금과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은 “유로달러 2.0” 시스템의 일부로서, 그 역외 특성과 채권 연계 속성 덕분에 다른 주식형 암호자산보다 안정성과 리스크 회피 능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 역외 수요의 확장에 따라 RWA(실물 자산 연계형) 암호자산 또한 관세로 인한 흐름의 수혜를 입을 수 있는 유망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알트코인에 관해서는, 미국 달러와의 연동성이 깊기 때문에, 포트폴리오 리밸런싱과 ‘탈달러화(de-dollarisation)’ 과정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높은 금리와 불확실성이 큰 시장 환경에서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알트코인의 시장 점유율은 더욱 축소될 가능성이 크며, 그 부진한 흐름은 ‘수개월’이 아닌 ‘수년 단위’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금리 인하로 인해 유입되는 유동성만이 알트코인 시장의 성과를 일정 부분 방어해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리스크 회피 심리가 여전히 강하게 작용하는 상황에서는, 새롭게 유입되는 유동성조차도 알트코인 시장의 ‘부활’을 이끌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 현재로서는 "지금 수준을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21,475,434 (+0.82%)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2,314,119 (-2.89%)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19 (0.00%)
XRP 로고 XRP (XRP)
3,054 (-0.07%)
BNB 로고 BNB (BNB)
834,693 (-0.64%)
Solana 로고 Solana (SOL)
188,016 (-0.39%)
USDC 로고 USDC (USDC)
1,419 (0.0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26.0 (-4.00%)
TRON 로고 TRON (TRX)
351.2 (-4.02%)
Cardano 로고 Cardano (ADA)
904.1 (-1.68%)
왼쪽
2025 4월  15(화)
오른쪽
진행기간 2025.04.15 (화) ~ 2025.04.16 (수)

25명 참여

정답 68%

오답 32%

진행기간 2025.04.14 (월) ~ 2025.04.15 (화)

42명 참여

정답 88%

오답 12%

진행기간 2025.04.11 (금) ~ 2025.04.12 (토)

43명 참여

정답 86%

오답 14%

진행기간 2025.04.10 (목) ~ 2025.04.11 (금)

30명 참여

정답 77%

오답 23%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