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기업 울프스피드(Wolfspeed)의 주가가 약세를 면치 못했다. 주당 약 48% 하락하며 사실상 사상 최저치 부근에서 거래를 마쳤으며, 이는 향후 수십억 원대의 정부 지원금 수령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된 데 따른 것이다.
회사는 지난해 미국 상무부와 최대 7억5000만 달러(약 1조 950억 원)의 보조금과 10억 달러(약 1조 4600억 원)의 세액공제를 받는 사전 협의를 체결한 바 있다. 해당 자금은 2022년 제정된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근거한 지원금으로, 울프스피드는 이를 노스캐롤라이나와 뉴욕주 생산시설 확장에 투입할 계획이었다. 여기에 아폴로를 포함한 투자 컨소시엄으로부터 추가로 7억5000만 달러를 유치해 총 25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자금을 확보하려 했다.
하지만 토머스 버너(Thomas Werner) 울프스피드 이사회 임시의장이 3월 27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회사가 특정 정부 보조금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경영하고 있다"며 외부 자금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투자자 사이의 불안감이 커졌다. 그는 CHIPS 보조금에 대한 최종 결정 시점이 올여름이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으나, 법률이 변경될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시장에 불확실성을 더했다.
울프스피드는 올 초 대규모 구조조정과 시설 통폐합 계획을 발표했으며, 지난해 11월 CEO 교체 이후 경영 쇄신에 나섰다. 이날 회사는 마이크론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 MU) 출신 로버트 퍼얼리(Robert Feurle)를 새 CEO로 임명했다. 공식 취임은 오는 5월 1일로 예정됐으며, 버너는 이와 동시에 이사회 의장직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한편, 반도체 공급망 확장을 위한 미 정부 보조금은 정치 환경에 따라 향후 정책 방향이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임 중 2022년 CHIPS 법 통과에 반대표를 던졌으며, 최근에는 주요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 재부과 방안을 공개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다시 드러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업계 전반의 연방 지원금 수급에 대한 불확실성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