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며, 미국의 대중 수출 산업과 이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고율의 대중 관세를 도입한 가운데, 중국도 이에 맞서 125% 상당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의 경제 분열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이 같은 상호 관세전은 미국 기업들의 수출 비용을 높이고 고용 시장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중국 무역협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국으로의 수출은 미국 내에서 약 93만 개의 일자리를 지탱하고 있었다. 하지만 향후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고 관세가 장기화되면 제조업, 농업, 기술, 교육 등 여러 주요 산업군에서 채용 위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특히 농업 분야는 대중 수출 의존도가 높아 타격이 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세부 수치를 보면, 미국산 곡물과 유지종자, 육류, 항공기 부품 등은 중국 수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관련 부문 노동자 수는 각각 수만 명에 달한다. 예를 들어 곡물 및 유지종자 산업에 의존하는 일자리는 약 17만 8,700개에 이르며, 교육, 반도체,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수만 개의 일자리가 중국 수출과 직결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고용시장에 전면적인 타격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골드만삭스는 채용 둔화가 향후 무역 전쟁의 선제적 결과로 나타날 가능성을 경고했다. 실제로 3월 기준으로 대량 해고를 신고한 민간기업 수가 많진 않았지만,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유보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가장 직접적인 피해가 우려되는 집단은 농민과 목축업자다. 중국이 보복 관세의 주요 대상으로 잡은 농축산물 제품군은 미국 수출의 핵심 품목이다. 전미농민연합(National Farmers Union)의 롭 라루 회장은 “우리는 안정적인 교역 환경과 공정한 경쟁을 필요로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가족농의 생존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 2018년 무역전쟁 당시처럼, 행정부가 긴급 지원책을 논의하고는 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보상안은 마련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농가들은 수출처 상실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구조조정과 고용 축소까지 고민해야 하는 이중고에 처해 있다.
이번 미중 관세전은 단기적인 무역 흐름뿐만 아니라, 미국 산업 전반의 고용 안정성과 공급망 전략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와 같은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수출 주도 산업의 위축은 피할 수 없다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