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XRP 현물 ETF, 진짜 호재일까... 단기 급등 이후엔 중앙화 리스크 우려

작성자 이미지
유서연 기자

2025.03.31 (월) 22:30

4
5

리플(XRP)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에서 사실상 승리하면서 현물 ETF 승인이 다음 촉매제로 주목받고 있다.프랭클린템플턴, 그레이스케일 등 자산운용사들이 XRP 현물 ETF를 신청했지만, XRP 공급이 중앙화돼 있어 장기적 수요에는 의문이 제기된다.

XRP 현물 ETF, 진짜 호재일까... 단기 급등 이후엔 중앙화 리스크 우려 / 셔터스톡

SEC와의 법적 분쟁을 사실상 마무리 지은 리플이 현물 ETF 승인 기대감을 타고 재조명되고 있지만, 시장 구조적 특성상 장기 상승세를 장담하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현지시간) 크립토포테이토에 따르면, 리플은 최근 SEC가 항소를 포기하면서 오랜 소송전에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대표는 해당 내용을 직접 발표하며 커뮤니티의 기대감을 자극했다. 초기에는 XRP 가격이 일시 급등했지만, 곧바로 조정되며 소송 종료 전 가격 수준으로 되돌아왔다. 이로 인해 시장은 새로운 재료로 관심을 옮기기 시작했고, 그 중심에는 XRP 현물 ETF 승인 여부가 있다.

현재 프랭클린템플턴(Franklin Templeton), 그레이스케일(Grayscale), 비트와이즈(Bitwise), 캐너리캐피털(Canary Capital) 등 복수의 주요 자산운용사가 미국에서 XRP 현물 ETF 승인을 신청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번 소송 결과를 바탕으로 ETF 승인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애널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 판사의 판결에 따르면, XRP의 2차 시장 판매는 증권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는 ETF 승인에 있어 법적 걸림돌이 제거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실제 ETF 승인이 가격 상승을 견인할 수 있을지는 또 다른 문제다. 비트코인은 ETF 승인 이후 강한 수요 유입이 있었지만, 이는 ‘디지털 금’이라는 인식과 탈중앙화된 공급 구조 덕분이다. 반면 XRP는 전체 공급량이 지나치게 중앙화돼 있으며, 리플이 시장에서 우월한 통제력을 행사하고 있는 구조다. 이 같은 구조는 대형 기관 투자자들에게는 리스크로 간주될 수 있다.

현물 ETF가 단기적으로 XRP 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실제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입될지 여부가 불확실하다. 중앙화 구조와 시장 통제 가능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한, ETF 승인이 ‘장기 상승의 보증 수표’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4

추천

5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4.01 10:27:1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다사랑

2025.04.01 05:54:3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릴라당

2025.04.01 00:16:4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5.04.01 00:03:4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