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SOL 현물 ETF 출시 임박
캐나다가 이번 주 솔라나(SOL) 현물 ETF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전했다. 그는 X를 통해 "캐나다 규제 당국이 퍼포즈, 이볼드, CI, 3iQ를 포함한 다수 발행사에 대해 승인 결정을 내렸다. 해당 ETF들은 TD은행을 통한 스테이킹 기능도 포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크라켄, 美 증권 거래 서비스 출시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미국 10개 주를 대상으로 주식 및 ETF 11,000 종에 대한 수수료 무료 거래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크라켄 고객은 모바일 앱, 크라켄 프로 앱, 또는 웹 기반 크라켄 프로를 통해 주식, 암호화폐, 현금, 스테이블코인을 한 곳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 크라켄은 향후 영국, 유럽, 호주 등으로 증권 거래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JP모건 산하 키넥시스, 블록체인 기반 파운드화 예금 계좌 출시
JP모건 산하 블록체인 플랫폼 키넥시스(Kinexys, 전 오닉스)가 영국에서 블록체인 기반 파운드화(GBP) 예금 계좌를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해당 계좌는 국가간 거래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우며, 주말에도 외환 거래를 포함한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JP모건의 기업 고객은 파운드, 유로, 달러간 자금 이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 지난 주 $7.95억 순유출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총 7.95억 달러가 순유출됐다. 3주 연속 순유출이다. 비트코인 관련 투자 상품에서 7.5억 달러, 이더리움(ETH) 관련 투자 상품에서 376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2월 초 이후 총 72억달러가 순유출됐는데, 이는 올해 유입액을 거의 상쇄하는 수준이다.
미 SEC, 그레이스케일 ETH 현물 ETF 스테이킹 승인 결정 연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레이스케일 이더리움 현물 ETF 스테이킹 허용 여부에 대한 결정을 연기했다.
분석 "리프파이낸스 CEO, 수일 전 OM 담보로 거액 대출 시도"
블록체인 보안 전문가 잭XBT가 X를 통해 "만트라(OM) 폭락 사태와 관련해 자주 거론되는 인물 중 한 명이 덴코 맨체스키(Denko Mancheski) 리프파이낸스 CEO다. 그는 OM 폭락 며칠 전 여러 사람들과 만나 OM을 담보로 거액의 대출을 요청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리프파이낸스는 과거에도 시장조작 논란에 휩싸였으며 지난해 10월 바이낸스에서 상장폐지된 바 있다"고 말했다.
만트라DAO, $2696만 OM 바이낸스 콜드월렛 입금
만트라(OM)DAO 스테이킹 월렛이 약 2시간 전 3,800만 OM(2,696만 달러)을 바이낸스 콜드 월렛에 입금했다. 온체인렌즈는 이와 관련 "전체 물량의 90%가 이미 매도된 상황에서, 만트라 팀이 추가 매도를 준비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분석 "OM 급락, 초기 투자자보단 개미가 주도"
이번 만트라(OM) 급락은 초기 투자자가 아닌 개인 투자자들이 주도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래스노드는 X를 통해 "OM이 갑작스러운 가격 붕괴로 몇 시간 만에 1달러 아래로 급락했다. 10분 단위 거래소 유입 데이터를 보면, 하락 직전에는 큰 유입이 없었다. 최대 유입은 급락 이후 발생했는데, 14일 17시 20분(한국시간) 약 3,800만 OM이 유입됐다. 이는 개인 투자자의 패닉 매도 혹은 단기 매매로 추정된다. 반면 초기 투자자(장기 홀더)들의 매도는 소극적이었다. 또한 상위 1% 고래 보유량(팀, 중앙화 거래소 등 제외)은 폭락 전후 96.4%에서 약 95.6%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레이저디지털 "OM 매도설 사실무근...여전히 보유 중"
일본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의 암호화폐 투자 자회사 레이저디지털이 최근 OKX로 대규모 OM을 입금, 매도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레이저 디지털은 X를 통해 "우리는 OKX에 OM을 입금한 적 없다. 우리가 보유 중인 OM은 여전히 락업 상태"라고 설명했다. 앞서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데이터너드는 "OM 급락 전 익명 주소 5개가 OKX로 2440만 OM(1.43억 달러)이 입금됐는데 이중 하나가 레이저디지털"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구글, 유럽 암호화폐 광고 규정 강화
구글이 오는 23일부터 유럽의 암호화폐 규제법 미카(MiCA) 규제에 따라 암호화폐 광고 정책을 한층 강화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정책에 따르면 유럽 내 광고를 하려는 암호화폐 거래소와 월렛은 미카 또는 암호화폐 서비스 공급업체(CASP) 라이선스와 구글 인증까지 함께 받아야 한다.
반암호화폐 성향 SEC 위원 "암호화폐 투자자 보호 시스템 미흡"
반암호화폐 성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 캐롤라인 크렌쇼(Caroline Crenshaw)가 최근 열린 암호화폐 태크스포스 원탁회의에서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자 보호 시스템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파이낸스피드에 따르면 그는 "대부분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이 어떠한 규제 기관에도 등록돼 있지 않으며, 브로커리지, 청산, 커스터디 기능이 단일 기업 내에 통합돼 있다. 이는 이해 상충을 피하기 위해 해당 기능을 분리한 전통 금융 시스템과 대조된다.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자산 보호에 갖는 기대와 현실에는 큰 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분석 "애링턴 캐피털 등, KERNEL 마켓 메이커"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플로우트레이더스, 오로스 글로벌, 애링턴 캐피털이 KERNEL의 유력 마켓 메이커라는 분석이 나왔다.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는 X를 통해 "플로우트레이더스와 오로스 글로벌은 프로젝트 측 멀티시그 월렛으로부터 각각 350만 KERNEL을 마켓 메이킹 용도로 수령했으며, 애링턴 캐피털은 1000만 KERNEL을 수령했다. 이는 전체 유통량의 10.47%에 해당한다"고 전했다.
비탈릭 "웹3 커뮤니티, 프라이버시 툴 적극 개발해야"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블로그를 통해 "프라이버시는 자유, 사회질서, 혁신에 필수적이다. AI, BCI(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같은 기술이 데이터 리스크를 키우는 상황에서 ZK-SNARK, FHE(완전동형암호화) 등 툴은 프라이버시를 강화한다. 웹3 커뮤니티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과 표준을 적극 개발하고 확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셀레스티아, mamo-1 테스트넷 출시
셀레스티아(TIA)가 mamo-1 퍼블릭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해당 테스트넷은 6초마다 128MB 블록을 생성하며, 데이터 처리 속도는 21.33MB/s에 달한다. 이는 셀레스티아 메인넷 처리량 대비 16배 넘는 수치로, 실사용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검증을 목표로 한다.
바이비트 "상장 수수료로 $140만 요구? 사실무근"
바이비트가 프로젝트에 상장 수수료로 140만달러를 요구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프로모션 예산, 보증금, 심사 및 평가 절차를 요구할 뿐이며 토큰을 직접 보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이퍼레인, 에어드롭 사전 클레임 기한 연장
크로스체인 애플리케이션 구축 플랫폼 하이퍼레인(HYPER) 재단이 HYPER 에어드랍 사전 클레임 기한을 4월 16일 4시(한국시간)으로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4Q 암호화폐 대출 규모, 3년 간 43%↓
지난해 4분기 암호화폐 대출 시장 규모가 2021년 정점 대비 43% 이상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갤럭시 디지털은 2024년 4분기 암호화폐 대출 시장 규모가 365억 달러였으며, 디파이 대출은 191억 달러까지 회복됐다고 설명했다.
테더, BTC 채굴풀 오션에 해시레이트 배치
테더가 비트코인 채굴풀 오션(OCEAN)에 기존 및 향후 해시레이트를 모두 배치할 계획이라고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밝혔다. 오션은 BTC 코어 개발자 루크 대시 주니어가 창업했고 잭 도시가 투자했다.
바이낸스 KERNEL 무기한선물 상장
바이낸스가 오늘 21시(한국시간) KERNEL 무기한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75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바이비트 VTHO 상장 예고
바이비트가 공식 X를 통해 VTHO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이번 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TOP5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 주 비트코인 장세 관전 포인트로 장기 추세선 돌파, 미국발 관세, ETF 자금 유입, DXY 하락, 글로벌 M2 증가 등을 꼽았다.
벅스코인, 이 달 레퍼럴 수익 7억원
웹3(Web 3) 기반 금융 교육 플랫폼 벅스코인은 4월 1~12일간 총 48.9만 달러(약 6.9억원) 레퍼럴 수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홍콩 투자사, 지난주 10 BTC 매수
홍콩 투자사 HK 아시아 홀딩스가 지난주 10 BTC를 매수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현재 보유량은 28.88 BTC다.
제프리스 "3월 BTC 채굴 수익 감소...시장 부진 탓"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가 3월 BTC 채굴 수익이 전월 대비 7.4% 감소했다고 밝혔다. BTC 가격 및 거래 수수료 하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스트래티지, $2.85억 BTC 매수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3,459 BTC(2억 8,580만 달러)를 평단가 82,618 달러에 매입했다.
분석 "BTC, 단기 조정 예상...수요가 $90,000 돌파 결정"
비트파이넥스는 이번 주 초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한 단기 조정 가능성을 제기하며, 수요 유지 여부가 9만달러 돌파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분석 "BTC, $8.5만서 강력한 저항 직면...돌파 시 랠리 시작"
BTC가 8.5만달러에서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으며 7.5만달러가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됐다. 돌파 시 랠리 재개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 증시 3대 지수 상승 출발
S&P500: +1.47%
나스닥: +2.17%
다우: +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