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디지털 금융 혁신의 새 구심점, 코디아포럼 출범

3
4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자산의 미래" 비전 선포... 산·학·법조계 전문가 총결집
"정책제안부터 투자유치까지"... 디지털자산 산업 도약 위한 종합 플랫폼 출범

코리아 디지털 자산 포럼(KoDiA Forum)이 지난 16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5호에서 출범식과 함께 창립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디지털 자산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디지털 자산 산업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한국 디지털 자산 시장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디지털 자산 산업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 목표

구은석 KoDiA 포럼 회장(법률AI 서울로봇 대표, 변호사)은 기조발표에서 포럼의 설립 배경과 비전을 설명했다. 구 회장은 "글로벌 금융 산업 재편과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한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기회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포럼을 설립했다"며 "건전한 생태계 조성과 제도적 기반 마련,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은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 발전 ▲글로벌 경쟁력 강화 ▲기술 혁신과 금융 포용 실현을 주요 비전으로 삼고, ▲제도적 기반 마련 ▲산업 고도화 추진 ▲국제 표준과의 정합성 확보를 목표로 활동할 예정이다.

전문가들의 다양한 시각 공유

박민규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디지털 자산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법안 마련에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고진석 블록ESG 공동창업자(텐스페이스 대표)는 '디지털 자산의 동향과 전망'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화폐의 두 축을 설명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정책 방향을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USD1' 스테이블코인 출시와 같은 최근 동향이 디지털 달러 질서 재편의 시도라는 점을 강조했다.

스티브 영 김 바이낸스 이사는 '트럼프 시대의 가상자산 동향과 바이낸스의 한국사업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와 관세 부과가 가상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높아진 시장 변동성 속에서 바이낸스의 전략을 공유했다.

김경민 서울대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디지털 자산 총정리와 미래 과제'를 주제로 폐회사를 맡아 디지털 자산의 현주소와 앞으로의 도전 과제에 대한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산·학·연·관 협력 체계 구축

코디아포럼은 산업계, 학계, 법조계, 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협력 체계를 구축해 ▲정책 제안 및 규제 개선 연구 ▲법제도 동향 분석 ▲디지털자산과 실물자산 융합 ▲블록체인 기술 활용 확산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정원훈 텐스페이스 이사의 진행으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참석자들 간의 활발한 토론을 통해 한국 디지털 자산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코디아포럼을 통해 대한민국이 디지털자산 선도국으로 도약하고, 혁신적인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겠다"는 포럼의 다짐과 함께 2시간에 걸친 창립기념 세미나는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4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1mini

16:31

등급 아이콘

Slowpoke82

14:16

등급 아이콘

사계절

13:27

등급 아이콘

바다거북이

13:14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5.04.24 16:31:25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4.24 13:27:31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4.24 13:14:1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