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아즈텍, 내부고발용 툴 스텔스노트 출시... 제로 지식 기술로 익명 보호

작성자 이미지
김미래 기자
1
2

프라이버시 레이어2 플랫폼 아즈텍(Aztec)이 익명 내부고발을 지원하는 신규 도구 '스텔스노트(StealthNote)'를 출시했다.이 도구는 제로 지식 증명(ZKP)을 통해 사용자가 회사 이메일 접근 권한을 입증하면서도 신원을 노출하지 않도록 한다.현재 구글 계정 기반 인증만 지원되며, 향후 마이크로소프트 및 슬랙 등 다양한 인증 수단과 통합될 예정이다.

아즈텍, 내부고발용 툴 스텔스노트 출시... 제로 지식 기술로 익명 보호 / 셔터스톡

이더리움 기반 프라이버시 레이어2 플랫폼 아즈텍이 제로 지식 증명을 활용한 익명 메시지 도구 '스텔스노트'를 출시하며 내부고발과 민감 정보 공유에 새로운 방식의 익명성을 제시했다.

15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아즈텍(Aztec) 개발팀은 제로 지식 증명(ZKP)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특정 조직의 이메일 계정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익명으로 증명할 수 있는 메시지 게시 플랫폼 '스텔스노트(StealthNote)'를 출시했다. 이 도구는 조직 내부자가 자신을 노출하지 않고 민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내부고발이나 기업 비리 제보 등을 염두에 둔 도구로 보인다.

스텔스노트는 '구글로 로그인(Sign in with Google)' 시 생성되는 JSON 웹 토큰(JWT)에서 필요한 정보만 추출하여, 사용자가 특정 회사 도메인의 이메일 계정에 접근 권한이 있음을 익명으로 증명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자 살릴 피첸(Saleel Pichen)은 엑스(X)를 통해 '그럴싸한 기업 정보를 갖고 있어도 신원이 드러나는 게 걱정된다면 스텔스노트를 통해 익명으로 공유하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 도구는 현재 지메일(Gmail) 기반 계정에 한정되어 있으나, 아즈텍 팀은 마이크로소프트와 기타 싱글사인온(SSO) 제공자, 슬랙(Slack)과의 통합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향후에는 특정 이메일을 수신한 사용자 인증, 특정 도시나 국가 거주자 인증 등으로 활용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즈텍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제로 지식 증명을 활용해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트랜잭션과 확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레이어2 솔루션이다. 2022년에는 웹3 투자사 에이식스틴지(a16z) 주도로 1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1

추천

2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WayneKIM

11:37

등급 아이콘

릴라당

10:17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4.16 10:17:5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