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美·中 무역전쟁 여파… 비트메인 채굴 장비 美 통관 지연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4 (금) 06:30

대화 이미지 0
하트 이미지 1

미국 세관이 중국산 채굴 장비 심사를 강화하면서 비트메인의 장비 배송이 지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채굴 기업들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美·中 무역전쟁 여파… 비트메인 채굴 장비 美 통관 지연 / Tokenpost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비트코인(BTC) 채굴 기업들이 중국 업체 비트메인(Bitmain)으로부터의 채굴 장비 조달에 차질을 빚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중국산 애플리케이션 특화 집적회로(ASIC) 및 고성능 컴퓨팅 장비에 대한 심사를 강화하면서 비트메인의 장비 배송이 지연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2024년 11월부터 시작된 단속의 연장선에서, 현재까지 미 항구에서 몇 개월간 장비 통관이 보류되는 상황을 초래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올해 1월, 비트메인과 연관된 AI 칩 공급 업체인 소프고(Sophgo)를 외국 기업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규제를 더욱 강화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채굴 기업들은 강도 높은 경쟁 환경에서 조달 문제로 인해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BTC 채굴 난이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에 대한 불안감이 업계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한편, 이더리움 재단은 최근 4만5,000 ETH(약 1,740억 원)를 디파이(DeFi) 생태계에 배포하며 자금 운영 방식에 대한 커뮤니티의 우려 해소에 나섰다. 크립토 시장에 따르면, 지난 13일 재단의 다중서명 지갑에서 컴파운드(Compound)에 4,200 ETH, 스파크(Spark)에 1만 ETH, 아베(Aave)에 3만800 ETH가 예치됐다. 이로써 Aave에는 약 82.4만 달러(약 1,190억 원)가 투입됐다.

아베의 창립자 스타니 쿨레초프(Stani Kulechov)는 이번 결정을 "이더리움 재단의 디파이에 대한 최대 규모 투자"라고 평가하며, 디파이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재단이 운영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대규모 매도하는 현상이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이사는 은행들이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12일 샌프란시스코 컨퍼런스에서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소매 및 국제 결제를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혁신"이라며, 이를 뒷받침할 규제 체계 필요성을 언급했다.

월러 이사는 스테이블코인이 미국 달러의 전 세계적 확장을 지원할 수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명확한 규제 부재가 시장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테라폼 랩스(Terraform Labs)의 스테이블코인 붕괴 사례를 거론하며, 적절한 감독이 없다면 금융시장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이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 이더리움 재단의 자금 운용 변화, 그리고 연준의 스테이블코인 정책 논의가 암호화폐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Slowpoke82

07:26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