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前 CFTC 위원장,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강력 비판… '리스크 간과'

작성자 이미지
강이안 기자

2025.02.12 (수) 07:23

대화 이미지 5
하트 이미지 8

前 CFTC 위원장 티모시 마사드가 미국 하원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STABLE Act)이 충분한 연방 감독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시장에서는 명확한 규제 체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前 CFTC 위원장,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강력 비판… '리스크 간과' / Tokenpost

지난 11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하원 디지털자산·금융기술·인공지능 소위원회 청문회에서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티모시 마사드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STABLE Act)에 대해 강한 비판을 내놨다. 그는 해당 법안이 충분한 연방 감독을 확보하지 못했으며, 중요한 리스크를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사드는 "STABLE Act가 완전 준비금 보유 요구나 발행자의 활동 제한 등 긍정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만, 여러 면에서 미흡하다"고 말했다. 특히 ▲약한 주(州) 기준과 불충분한 감독 체계 ▲스테이블코인 발행자의 파산 시 처리 방안 부재 ▲금융 범죄 및 제재 회피 가능성 대응 미흡 ▲테더(USDT)와 같은 대형 스테이블코인에 미치는 영향 부족 ▲향후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규제 기관의 권한 부족 등을 지적했다.

크라켄(Kraken)의 부총법무책임자 조너선 야힘도 "중앙화된 중개업체(CEX)에 대한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다"며, CFTC가 현물 시장 규제 권한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크립토 이노베이션 협의회 회장 지훈 김 역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규제 명확성이 일정 부분 개선되었지만, 전임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갠슬러의 ‘집행 위주의 규제’가 시장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현재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시장 규모는 2,300억 달러(약 333조 5,000억 원)에 이른다. 법안 개정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연방 차원의 포괄적인 감독과 명확한 규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5

추천

8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8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위당당

17:59

등급 아이콘

흰토끼를따라가라

17:34

등급 아이콘

SSdc

14:00

등급 아이콘

가즈아리가또

13:12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02.12 17:59:5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흰토끼를따라가라

2025.02.12 17:34:30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Sdc

2025.02.12 14:00:1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5.02.12 13:12:4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5.02.12 08:27:55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