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대학교(UGA) 연구에 따르면, 유튜브, X(구 트위터), 레딧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활발히 이용하는 사람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현지시간) 크립토폴리탄에 따르면, 조지아대학교 연구팀이 진행한 조사에서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절반이 암호화폐에 투자한 반면,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투자율은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특히 유튜브, X, 레딧, 클럽하우스(Clubhouse) 이용자들이 가장 높은 암호화폐 투자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반면, 인스타그램(Instagram)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투자 가능성이 낮았다.
연구진은 이 같은 차이가 플랫폼의 특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유튜브, X, 레딧과 같은 플랫폼은 장문의 텍스트나 영상 기반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가능하지만, 인스타그램은 주로 시각적 콘텐츠 중심이라 암호화폐 투자 관련 대화가 활발하지 않다는 것이다.
조사에 참여한 루 판(Lu Fan)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소셜미디어에서 암호화폐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유명인들도 이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내 친구, 가족, 그리고 내가 존경하는 유명인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한다면 나도 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연구는 성별, 연령, 위험 감수 성향 등 투자 성향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도 분석했다.
- 남성이 여성보다 암호화폐 투자 가능성이 높았다.
- 고학력일수록 암호화폐 투자율이 낮았다.
- 연령이 높을수록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다.
UGA 연구 결과는 기존 금융 연구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미국 금융능력조사(National Financial Capability Study)와 투자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8년에는 응답자의 15%만이 암호화폐에 투자했지만, 2021년에는 28%로 증가했다. 또한, 2018년에는 20% 미만이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을 보였으나, 2021년에는 3분의 1 이상이 투자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진은 소셜미디어에서 퍼지는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경고했다.
- 젊은 투자자들은 소셜미디어에서 얻은 정보로 자신의 투자 지식을 과신하는 경향이 있다.
- 이로 인해 사기나 잘못된 금융 조언에 취약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판 교수는 "투자는 개인의 재정 목표와 일치하는지 신중히 평가해야 하며, 단순히 소셜미디어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이번 조사 결과가 암호화폐 시장 규제 및 정책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투자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금융 정보를 선별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정보 판별 능력)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소셜미디어가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투자자들은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조지아 대학연구, 소셜미디어 이용자 암호화폐 투자 가능성 더 높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