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암호화폐에 대한 글로벌 인식 변화를 수용하며 관련 입장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자이 세스(Ajay Seth) 인도 재무부 경제 담당 장관은 2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암호화폐에 대한 다른 국가들의 기조가 달라짐에 따라 인도 역시 관련 입장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세스 장관은 "암호화폐 사용과 수용, 중요성을 인식하는 방식에 있어서 한두 곳 이상의 관할권이 입장을 변경했다"면서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인도 정부도 관련 정책 보고서를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암호화폐가 국경을 초월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도가 일방적인 입장을 고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인도는 지난 몇 년 동안 엄격한 규제와 과중한 과세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을 압박해왔다. 특히 통화당국인 인도 준비은행은 민간 암호화폐가 거시경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일관되게 반대 입장을 유지해왔다.
인도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023년 12월 9개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 현지 규제를 준수하지 않았다면서 소명을 요청했다. 바이낸스의 경우, 작년 6월 인도 운영을 재개하기 위해 FIU에 등록한지 한 달 만에 1억8820만 루피(32억원) 상당의 과징금 처분을 받기도 했다.
한편, 지난해 인도 시장 규제 당국은 암호화폐 거래를 여러 기관이 함께 감독해야 한다고 권고하면서, 인도 내 일부 기관이 민간 암호화폐 사용을 허용하는 데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했다.
로이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親) 암호화폐 정책에 따른 변화"라고 풀이하면서 작년 9월 공개 예정이었던 암호화폐 관련 정책 보고서 발간이 더 지연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암호화폐 정책 개선을 약속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관련 규제안, 국가 암호화폐 준비금 등을 검토할 전담팀 설립을 지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