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투자자가 암호화폐 마켓플레이스 펌프닷펀이 미등록 증권을 판매하고 5억 달러에 달하는 부당한 수수료 수익을 올렸다며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31일(현지시간) 더 블록에 따르면, 투자자 디에고 아길라르(Diego Aguilar)가 펌프닷펀(Pump.fun)을 운영하는 베이튼 코퍼레이션(Baton Corporation)과 창업자 3인을 상대로 뉴욕 남부지방법원에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펌프닷펀 플랫폼에서 만들어진 모든 토큰이 증권이므로 미국 증권법에 따라 규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장에서 "펌프닷펀의 핵심 기능은 인플루언서들과 협력해 미등록 증권을 공동 발행하고 마케팅하는 것"이라며 "운영 자체가 폰지와 펌프앤덤프 사기의 새로운 진화"라고 지적했다.
아길라르는 펌프닷펀을 통해 생성된 FRED, FWOG, GRIFFAIN 등 세 개의 밈코인에 투자해 손실을 봤다고 주장했다. 이 코인들은 "기하급수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고 홍보됐다.
원고는 펌프닷펀이 틱톡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100배" 또는 "1000배" 수익을 미끼로 한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 경험이 부족한 젊고 부유하지 않은 사용자들을 의도적으로 노렸다고 주장했다.
아길라르와 그의 변호인단은 또한 펌프닷펀이 인프라를 제공해 "펌프앤덤프" 밈코인을 조장하고 고객확인(KYC)과 자금세탁방지(AML) 프로토콜 등 투자자 보호 조치를 소홀히 했다고 주장했다.
울프 포퍼(Wolf Popper LLP)와 함께 아길라르를 대리하는 버윅 로(Burwick Law)는 이달 초 X에 게시한 공지를 통해 손실을 본 펌프닷펀 사용자들의 소송 참여를 촉구했다.
이는 펌프닷펀에 대한 첫 법적 도전은 아니다. 울프 포퍼와 버윅 로가 주도하는 PNUT 토큰과 HAWK 토큰 관련 두 건의 집단소송이 이미 진행 중이다.
솔라나 네트워크에서 누구나 밈코인을 발행할 수 있는 1년 된 플랫폼인 펌프닷펀은 여전히 매일 수백만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더 블록의 데이터 대시보드에 따르면 이 플랫폼은 1월에만 1억 1672만 달러의 수수료 수입을 올렸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