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블록체인을 통해 전통적인 금융이 어떤 모습일지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 됐다.
체인링크(Chainlink)는 24일 전경련 루비홀에서 ‘TradFi와 블록체인의 만남: 진화하는 관계’라는 주제로 밋 업을 개최했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제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다뤄졌다.
블록체인 인프라는 기존 은행 시스템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연 시간, 인적 오류, 규제 문제 등을 줄일 수 있다.
국내 은행들은 블록체인 기술에 적합한 활용처를 찾으면서 자체 플랫폼을 개발하거나 만들어진 시스템을 통해 쓰임새를 확장하고 있다.
사진 = 체인링크 밋 업 행사 / 사진 토큰포스트 박원빈 기자
정승환 체인링크 연구원은 “은행의 블록체인 진출은 상당의 큰 인식의 전환이며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줄것이다”라며 “가상자산을 통해 개인이 자산을 은행이 아닌 본인이 컨트롤 할 수 있고 인식의 변화를 통해 블록체인이 큰역활을 할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용일 아발란체 한국 대표는 “금융업계의 블록체인은 도입은 진작에 됐어야 한다”며 “기존의 은행 내부 시스템은 너무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외에 송금을 보낼 때 아무리 빨라도 3일 이상 걸리기 때문에 블롤체인 도입은 너무 당연하다”며 “가상자산을 통해 개인에게는 새로운 투자의 기회 및 은행에게는 새로운 서비스를 통한 자산 확보의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김민수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 대표는 “금융회사들은 진작부터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는데 국내 규제 때문에 외국에 진출 하거나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방식 이었다”며 “국내 규제가 확립이 되면 좋다 안 좋다가 아닌 시대의 트렌드 이다”라고 설명했다.
성연우 채이널리시스 대표는 “여태까지 금융기관은 보수적 문화 였는데 가상자산을 통해 대중의 트렌드를 반영하는건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며 “직접적인 진출 케이스 없지만 금융 시장의 좋은 영향력을 발휘 하면 대중들은 반드시 선택할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체인링크(Chainlink)는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 결제, API 등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이다. 체인링크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작동하는 각종 스마트 계약이 현실 세계의 데이터와 쉽게 연결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