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규제 지원에 실패하면서 국가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암호화폐 투자사 '판테라캐피털'의 CEO 댄 모어헤드는 21일(현지시간) 링크드인 계정에서 "상위 15개 블록체인 중 미국 소재 프로젝트의 시가총액 비중은 5%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상위 15개 인터넷 기업의 전체 시가총액에서 미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8%에 이른다"면서, 인터넷 시장에서의 미국 입지와 비교했을 때, 암호화폐 산업에서 미국의 국가 경쟁력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비교표에 따르면 상위 15개 인터넷 기업 중 미국 기업은 구글 모기업 알파벳, 아마존, 메타, 에어비앤비, 우버 등 10개로, 종합 시총이 3조73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나머지 5개 기업은 텐센트, 알리바바, 징동몰 같은 중국 기업으로, 종합 시총은 8430억 달러 상당이다.
한편, 상위 15개 블록체인 중 미국에 본거지를 둔 프로젝트는 리플, 솔라나, 유니스왑 세 개뿐이다.
미국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시총은 280억 달러, 해외 프로젝트 시총은 5620억 달러 수준이다.
이중 리플은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오랜 소송 가운데, 본사 이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었다.
댄 모어헤드는 두 산업의 국가 경쟁력이 이처럼 극심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규제 환경'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암호화폐 규제 방식과 인터넷 규제 방식은 극과 극"이라면서 미국의 암호화폐 산업 경쟁력이 악화된 이유는 명확하다고 말했다.
판테라 CEO는 "미국 정부는 말 그대로 '인터넷'을 직접 구축했다"면서, 미국 국방부가 개발해, 인터넷 네트워크의 핵심 프로토콜 'TCP/IP'의 근간이 된 아르파넷(ARPANET)을 언급하기도 했다.
아울러, 정부가 초기 인터넷 기업에 무수한 혜택을 제공해 힘을 실어줬다는 점을 강조했다.
댄 모어헤드는 "특히 미국 정부는 초기 인터넷 기업 규제를 면제해주는 '세이프하버(안전항)'를 제공했고, 오프라인 경쟁업체 대비 8.25%의 판매세 감세 혜택까지 줬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이 이처럼 지원적 규제를 통해 세계 최대 인터넷 기업들을 배출했지만, "블록체인 규제 접근 방식은 정반대의 효과를 내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판테라 CEO는 "미국의 규제 방식은 블록체인 거래의 95%를 해외로 이동하게 했고, 시총 95%를 차지하는 프로젝트가 해외에 소재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