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창업자, FTC 재판서 메타 맹폭… "저커버그, 경쟁자 무력화 의도"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0

인스타그램 공동 창업자 케빈 시스트롬이 FTC 반독점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메타의 '경쟁자 무력화' 전략을 공개 증언했다. 메타는 시스트롬의 발언에 일부 반박하며 플랫폼 성장 전략의 일환이었다고 주장했다.

인스타그램 창업자, FTC 재판서 메타 맹폭… "저커버그, 경쟁자 무력화 의도" / TokenPost Ai

메타플랫폼(META)이 연방거래위원회(FTC)로부터 부당 인수 혐의로 법정에 서 있는 가운데, 인스타그램 공동 창업자인 케빈 시스트롬이 해당 재판에서 핵심 증인으로 나서며 FTC 측 주장을 사실상 지지했다. 그는 마크 저커버그가 인스타그램을 위협으로 인식해 인수했고, 이후 의도적으로 성장 가능성을 제한했다고 주장했다.

시스트롬은 워싱턴 D.C. 연방지방법원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6시간 동안 증언을 이어갔다. 그는 인스타그램 인수가 진행된 2012년 당시부터 페이스북(현 메타)의 자원 배분이 불공정했다고 지적했다. 당시 인스타그램은 한창 성장세를 구가했고, 한때 하루 기준으로 미국 내 페이스북 사용자 수 증감을 주도했지만 정작 조직 규모는 1000명 수준에 그쳤고, 3만5000명 규모의 모회사 대비 자원 배정에서 소외됐다는 것이다.

특히 시스트롬은 “인스타그램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압도적으로 수익을 창출했지만, 우리가 당시 받을 수 있었던 역량에 비해 지나치게 부족한 지원만 받았다”며 “마치 조직 내부에서 다른 의도가 작동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고 증언했다.

이와 함께 재판에서는 과거 메타 내부 이메일도 증거로 제시됐다. 저커버그가 인스타그램 인수 전 경쟁 관계를 '무력화하겠다'고 표현하고, 인수 후에도 ‘추가 기능을 제한하겠다’고 밝힌 정황이 담겼다. 시스트롬은 이를 언급하며, 주된 이유는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 본체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고 저커버그와 제품 총괄 크리스 콕스가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는 교차 심문 과정에서 인스타그램이 독립 상태로 운영됐다면 현재보다 성장세가 둔화됐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이는 메타가 인스타그램이라는 플랫폼 성장을 인수합병을 통해 더욱 가속화했다는 메타 측 주장과 일부 맥이 닿아 있다.

이번 증언은 FTC가 주장하는 ‘사거나 버리는 전략(buy-or-bury strategy)’의 핵심 사례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FTC는 메타의 이같은 반경쟁적 인수 행태가 명백한 독점 유지 전략이라며 기업 분할 또는 계열사 매각 등의 강제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소송은 구글(GOOGL), 아마존(AMZN)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을 겨냥한 연방정부 반독점 정책의 연장선에서 진행 중이다. FTC와 법무부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규제 강화 움직임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번 시스트롬의 증언은 메타의 향후 운명을 가를 결정적인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트럼프의 SDNY 검사장 지명 제이 클레이튼, 리플 상대 SEC 소송 제기했던 장본인

캔터 피츠제럴드·소프트뱅크·테더 손잡고 30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플랫폼 출범

댓글

0

추천

0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