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립토 프리세일은 가상자산 투자자들에게 상장 전 토큰을 선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025년 4월 기준으로 주목할 만한 프리세일 프로젝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게임파이 분야의 멀티플라이어(GAMBA)는 게임화된 마켓메이킹을 통해 토큰 성장을 도모하는 플랫폼입니다. 고정가 프리세일 방식으로 진행되며 토큰 가격은 0.00025 USDC입니다.
FNT 크립토(FNTIO)는 디파이, 중앙화 금융, 게임파이를 통합한 스위스 기반 금융 플랫폼입니다. Global Unit Pay가 개발했으며 FNTIO와 FUNT 두 가지 토큰을 활용합니다.
크립테인(CRY)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기존 제휴 마케팅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스마트 계약과 USDC 결제를 통해 즉각적인 정산과 최대 90%의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합니다.
런치 프로토콜(LUNCH)은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디파이 애플리케이션의 수익 파밍을 자동화합니다. EVM과 MoveVM 지갑을 통해 맞춤형 AI 에이전트 배포가 가능합니다.
EON 코인(EON)은 5초의 블록 생성 시간과 낮은 수수료를 자랑하는 EVM 호환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개발자들은 리믹스, 메타마스크 등 이더리움 툴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라피랩(GRAFI)은 중앙화된 데이터센터와 탈중앙화 GPU 네트워크를 통합한 AI 생태계입니다. CeDePIN 플랫폼을 통해 AI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배포, 수익화를 지원합니다.
블링크 게임 AI(BLINK)는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해 눈 깜빡임을 통한 토큰 획득이 가능한 P2E 게임입니다. 획득한 토큰은 매주 USDT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메이지 랩스(WIZDOG)는 AI 기반 Web3 게임 스튜디오입니다. 대표작 Versus는 애니멀 크로싱과 포켓몬의 요소를 결합했으며, AI가 구현한 환경에서 실시간 PvE와 PvP가 가능합니다.
해시번(HBURN)은 헤데라 네트워크 기반의 디플레이션 토큰입니다. 커뮤니티 거버넌스, 스테이킹, 게임 보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게이머스XP(GMXP)는 포트나이트, CS2 등 인기 AAA 게임에 P2E 메커니즘을 도입한 게임 플랫폼입니다. 성과 증명(PoA) 시스템을 통해 게임 내 성과에 따른 토큰 보상이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