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심층분석] MASK 폭락과 10M 청산... 돈세탁 의혹까지 제기

작성자 이미지
한재호 기자

2025.04.02 (수) 12:39

3
4

- 4월 1일 저녁 LUMIA·KAVA 등 알트코인 6종 동시 급락
- 4월 2일 새벽 MASK, 2.50달러 고점서 -21% 하락…10M 포지션 동시 정리
- 바이낸스 “일부 VIP 사용자 현물 대량 매도, 청산 유도 아냐” 해명
- 업비트와 빗썸 거래 영향은 미미

이틀 새 두 차례 급락…MASK 포함 7종 동시 하락, 바이낸스·OKX '세력 거래' 의혹 / 사진= 셔터스톡

4월 1일과 2일, 이틀에 걸쳐 바이낸스와 OKX에서 이례적인 동시 급락 사태가 연이어 발생했다. 첫날 저녁에는 LUMIA, ACT, KAVA 등 소형 알트코인 6종이 동일 시점에 급락했고, 다음 날 새벽에는 MASK(마스크네트워크)가 단기간 2.50달러 고점에서 1.95달러까지 폭락하며 10M 이상의 포지션이 동시 청산되는 현상이 포착됐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시세조작, 자전거래, 알고리즘 기반 세력 개입 등 의혹을 제기했고, 바이낸스는 일부 대규모 매도 사용자의 영향이었다고 공식 해명했다.

4월 1일 저녁, 바이낸스 알트코인 6종 급락…“청산 유도 가능성”

1일 오후 7시 30분경(한국시간, UTC 10:30), 바이낸스에서 거래되는 LUMIA, ACT, KAVA, QUICK 등 최소 6종의 코인이 1분 봉 기준으로 -4% ~ 37% 하락했다.

이들은 모두 급락 전까지는 횡보 흐름을 보이다가 대량 거래량과 함께 순간적으로 음봉이 생성, 전형적인 청산 유도 구조를 보였다.

커뮤니티 반응: "MASK 청산, 돈세탁 의혹 커진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MASK 청산 사태와 관련해 돈세탁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 유저는 "OKX에서 1.5% 가격이 움직이는 동안 미체결 물량이 약 8M~9M이나 체결되었는데, 이 정도 물량을 반대쪽에서 인위적으로 잡아주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며 "고가에서 2500만 달러(약 370억 원) 규모의 포지션이 형성된 것도 자연스러운 거래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의견으로는 "OKX 쪽에서 대규모 물량이 1초봉 피뢰침 형태로 정리된 점과 바이낸스 최고가에서 10M 포지션이 미체결 상태로 증가한 부분은 인위적인 계좌 이체와 비슷하다"며 "고가에서 2500만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없다는 점에서 돈세탁 의심이 든다"고 강조했다.

MASKUSDT Perpetual 15min / OKX

바이낸스 해명 “현물 대규모 매도, 선물 청산 연쇄로 이어져”

바이낸스는 3일 X(구 트위터)를 통해 이번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혔다.

"세 명의 VIP 사용자가 단시간 내 51.4만 USDT 상당의 ACT 현물 매도 거래를 진행했으며, 또 다른 사용자는 외부 플랫폼에서 대량의 ACT를 입금해 약 54만 USDT 규모를 매도했다. 이로 인해 가격이 급락했고, 일부 사용자의 선물 포지션 청산이 뒤따라 기타 종목까지 하락했다."

또한, 바이낸스는 관련 시점에 ACT/USDT 무기한 선물 레버리지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이상 징후나 임의 청산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Mask Network USDT / CoinMarket Cap

MASK, 다음 날 새벽 폭락…10M 포지션 한 번에 사라져

4월 2일 새벽 2시경(한국시간, UTC 4월 1일 17:00), MASK는 고점 2.50달러에서 1.95달러까지 단기간 폭락했다. OKX에서는 이 시점에 약 10.8M 규모의 포지션이 동시 정리되는 등, 의도적 구조적 청산 정황이 확인됐다.

  • 고점: 2.50달러

  • 저점: 1.95달러

  • 낙폭: 약 -21%

  • 특이사항: 미체결 포지션 -10.8M 감소(OKX 기준)

전문가들은 “청산 시점, 호가창 구조, 거래량의 급변으로 볼 때 단순 매도보다는 자전거래, 알고리즘 기반 포지션 정리의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해킹 연루 의혹도…2월 창립자 지갑서 400만 달러 유출

앞서 2월 27일, MASK 창립자 수지 옌(SuJi Yan)의 개인 지갑에서 약 400만 달러 상당의 자산이 탈취된 정황이 블록체인 보안사 Cyvers에 의해 확인됐다. 탈취된 자산은 ETH로 변환돼 여러 주소로 분산 송금됐다.

일각에서는 이번 MASK 청산이 해킹 자산의 회수 또는 세탁을 위한 구조적 거래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비트와 빗썸 거래 영향은 미미

MASK는 국내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도 상장되어 있지만, 급락 사태 이후 두 거래소에서의 거래량 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국내에서는 바이낸스와 OKX에서 발생한 대규모 포지션 청산과 같은 극단적 가격 변동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거래량 역시 해외 거래소에 비해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일부 트레이더들은 "해외 대형 거래소에서 발생한 변동성이 국내 거래소로 전이되지 않은 점이 오히려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보여준다"며, "특히 MASK와 같은 알트코인의 경우 유동성이 낮은 곳에서는 가격 급락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 안정 위한 구조 공개 필요”…조사 지속 요청

일련의 급락 사태에 대해 바이낸스는 일부 사용자의 대규모 매도가 원인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동시 다발적 급락 구조, 포지션 청산 패턴, 호가창 이상 정황에 대한 의혹이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거래소는 거래 로그, 청산 메커니즘, 내부 유동성 알고리즘을 외부에 공개하고, 독립적인 감사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며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3

추천

4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FADO

00:27

댓글 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위당당

2025.04.02 17:49:3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4.02 16:38:04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N_Ryawa

2025.04.02 13:09:19

탁월한 분석이에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