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이 백악관 암호화폐 담당관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에게 재정 공개와 이해충돌 방지 조치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발표 이후, 워런은 특정 암호화폐 가격 상승을 위한 내부 거래 가능성을 지적하며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7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이 데이비드 색스(David Sacks) 백악관 암호화폐 담당관에게 재정 공개 및 이해충돌 방지 조치를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이번 요청은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Strategic Bitcoin Reserve) 설립을 공식 발표한 직후 나왔다.
워런은 서한에서 색스가 암호화폐 투자 이력을 공개하고, 백악관이 특정 암호화폐 가격 상승을 유도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명확히 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암호화폐 규제 완화 정책을 적극 추진하는 가운데, "대통령과 측근들이 특정 암호화폐 자산 가치를 인위적으로 부양하려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색스는 "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에 모든 암호화폐 자산을 매각했으며, 현재 공식적인 윤리 검토를 받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투자사 멀티코인 캐피털(Multicoin Capital)과 비트와이즈(Bitwise) 펀드의 지분까지 모두 정리했다고 밝혔다.
워런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3월 3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XRP, SOL, ADA를 포함하는 ‘미국 암호화폐 전략 비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백악관 내부 관계자들이 이 같은 정보를 미리 알고 있었는지, 그리고 관련 암호화폐를 사전 매입한 인물이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SEC의 암호화폐 정책 변화도 워런의 비판 대상이 되었다. 그녀는 SEC가 최근 코인베이스(Coinbase), 크라켄(Kraken), 로빈후드(Robinhood)에 대한 법적 조치를 철회한 점과, 밈코인(memecoin)에 대해 "증권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 "암호화폐 투기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6일 전략적 비트코인 비축 및 디지털 자산 비축(Digital Asset Stockpile) 설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정부가 보유한 약 20만 BTC(약 180억 달러)를 매각 없이 장기 보유하는 것이 핵심이며, 추가 비트코인 매입은 세금 부담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명시됐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XRP, SOL, ADA 등 기타 암호화폐 매입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