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내기사
[시사저널e] 우리銀,블록체인기반 금융서비스 시동…상반기중 해외송금에 도입
우리은행은 20일 상반기 중에 리플(XRP) 기술을 해외송금 서비스에 적용해 신속하고 저렴한 해외송금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상화폐 리플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송금 네트워크 리플넷에 가입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엑스커런트(xCurrent) 송금플랫폼을 이용해 해외송금 서비스를 진행할 예정이다.
[머니투데이] 2조 가상통화 ICO 성공 기업, "모든 프라이빗 블록체인 연결 목표"
국내 블록체인(분산원장기술) 대표 전문기업인 '더루프'를 이끌고 있는 김종협 대표이사는 "금융, 의료, 교육, 공공 등 각 영역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된 프라이빗(폐쇄형) 블록체인과 퍼블릭(개방형) 블록체인을 서로 연결시켜 우리나라가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을 리드해 나갈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헤럴드경제] 금감원장 “가상화폐 거래 활성화” 급선회...해외 금융수장들은
금융감독원이 가상화폐(가상통화ㆍ암호화폐) 거래와 관련해 이전과 달리 규제가 아닌 시장 활성화를 강조하면서 기존보다 다소 완화된 입장을 보였다. 이는 세계 금융수장들이 암호화폐를 위험자산, 폰지사기 등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상반된 발언이다.
[ZDNetKorea] 중국서 블록체인 '구인난' 심화...연봉 1억 훌쩍
알리바바·텐센트 등 중국 대표 기업들의 블록체인 연구개발이 한창인 가운데,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가를 구하고자 하는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라거우왕·보스 등 중국 구인구직 플랫폼을 분석한 결과 엔지니어, 기술 담당자 등 분야 인재 수요가 많았으며 연봉은 주로 30만 위안(약 5천83만원) 이상으로 책정되고 있고 일부 기업의 경우는 100만 위안(한화 1억 6,946만원) 이상의 연봉을 제시하기도 했다.
[서울경제] 마크 카니 영란은행 총재 "비트코인은 실패한 통화"
영국 중앙은행 총재 마크 카니(Mark Carney)는 비트코인을 '실패한 통화'라고 평가했다. 20일 CNBC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런던 리젠트 대학생들 대상으로 하는 강의에서 "무질서(all over the map)하다는 측면에서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의 수단이 아니고, 누구도 비트코인을 교환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글로벌이코노믹] 암호화폐 거래소 디자인만 우수...콘텐츠·기능·기술성 미흡
앱 평가 전문기관인 웹발전연구소가 처음으로 상위 암호화폐 거래소 앱 5개를 비교 평가한 결과 암호화폐 거래소의 모바일 앱은 대체로 디자인은 우수했으나 콘텐츠나 비즈니스 기능 및 기술성 등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경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다음주 암호화폐 규제 논의 시작
유럽연합(EU)의 중심기구 중 하나인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26일(현지시간) 암호화폐(가상화폐) 규제에 대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논의에는 EU 내 은행 및 시장감독기관이 참석해 암호화폐(가상화폐)에 대한 규제의의와 장기적인 전망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2. 해외기사
[CCN]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Bankera ICO에 1억 유로 투자
리투아니아 중앙은행은 자국 증권법에 위반되는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자국 내 스타트업 기업 Bankera의 ICO에 1억 유로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Bankera는 "은행업에 블록체인을 입힌다"는 슬로건을 가지고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업이다.
[Cointelegraph] PayPal CFO, 비트코인은 미래의 주요 결제수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온라인 전자 결제 서비스 회사인 페이팔(PayPal)의 CFO 존 레이니는 비트코인이 미래에 대중적으로 쓰이는 결제수단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현재 비트코인의 가치는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어 신뢰할 수 있는 통화는 아니지만, 미래에는 비트코인이 주요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WSJ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Bitcoinist] 베네수엘라, 절망 속에서 빛 볼 수 있나?
베네수엘라가 오일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큰 '페트로(Petro)'를 발행했다. 하지만 베네수엘라는 하이퍼인플레이션, 식량 부족 등을 겪고 있는 나라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베네수엘라의 경제 환경에서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것은 투기적 수요(장기적 관점에서 실패)외에는 기대할 것이 힘들다고 전했다.
[Bitcoinist] 도지코인(Dogecoin), 올 하반기에 도지더리움(Dogethereum)으로 하드 포킹한다
도지코인(Dogecoin)은 원래 비트코인을 풍자적으로 패러디하기 위해 시바견을 모델로 한 코인이다. 하지만,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개발자는 하드 포킹을 통해 빠르고 편리한 거래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Cointelegraph] 러시아 블록체인 협회, "최초"로 ICO 펀딩을 보호하는 시스템 개시
러시아에서 ICO를 하기 위해서는 170만달러 이상의 자기자본금과 라이센스가 있어야 가능하다. 러시아 블록체인협회는 이와 함께 ICO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애스크로 계정을 이용해, 파산이나 사기의 가능성을 낮추고 투자안정성을 보장할 계획이다.
[Bitcoin.com] 팀 드레이퍼(Tim draper) : "왜 과거를 위해서 미래를 팔아치워야 하는가?"
벤처 투자가 팀 드레이퍼는 "내 생각에 비트코인은 장래에 화폐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내게 '비트코인을 팔 생각이 있습니까?'라고 많이 묻지만 나는 '내가 왜 과거를 위해 미래를 팔아야하나요?'라고 되묻는다."고 말했다. 안전하고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를 굳이 사용이 제한적인 법정화폐로 바꿔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게 그의 논리이다.
[Bitcoin.com] SBI, 신용카드로 암호화폐 구매 금지하지 않아
인도 금융 당국에서는 신용카드를 통한 암호화폐 거래를 금지, 경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SBI 카드사는 신용카드로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기로 했다.
[Bitcoinist] 케플러, AI와 로봇산업에 블록체인 기술 융합
블록체인 기반 기술 네트워크인 케플러 테크(Kepler Technologies)는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와 로봇 산업에 탈중앙화된 생태계 기반을 도입할 계획이다. 기술개발자들과 투자자들을 연결해 4차 산업 시장의 진입장벽을 허물고 다양한 산업을 맘껏 펼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한다.
3.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