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WEF)과 콜롬비아 정부가 공공조달 계약의 입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부패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다.
WEF는 최근 발간한 '정부 투명성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모색: 부정부패를 줄이기 위한 블록체인 공공 조달'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WEF는 콜롬비아 감찰실, 미주개발은행과 함께 이더리움 퍼블릭 블록체인을 사용한 개념증명을 실시할 계획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공공조달 계약 규모는 약 9조5000억 달러(약 1경1540조원)에 달한다. 하지만 계약 과정에서 정부 기관과 민간 기업 간의 빈번한 접촉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정부패의 온상이 돼 전체 자금의 30%가 손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사업은 블록체인 기술의 투명성을 공공조달 계약의 입찰 과정에 접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개념증명 솔루션은 올 하반기 콜롬비아 국립대학에 들어가는 물품과 서비스의 실제 조달 과정에서 시범 활용될 예정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공공조달에 활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사전 공모를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을 도입한 플랫폼도 있다. 위·변조가 불가능한 기록을 통해 투명성을 제고하겠다는 구상이 담겨 있다.
애슐리 란퀴스트 WEF 블록체인·디지털화폐 프로젝트 수석은 "블록체인의 가장 강력한 가치제안은 기록이 삭제되지 않았고, 입찰이 거부되지 않았다는 것을 참여자들이 확신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특히 이더리움 같은 비허가형 블록체인에서 이러한 강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공공조달에 투명성을 더하기 위해 사용되는 퍼블릭 블록체인이 기업이 활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콜롬비아 조달 관련 법에 따르면, 공급업체는 익명으로 입찰에 참여해야 한다. 하지만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반복적으로 거래가 진행되면 기업의 주요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WEF는 하이퍼레저비수, 베이스라인 프로토콜 등 허가형 블록체인과 비허가형 블록체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의 사용도 고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