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State Street·Citi,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도입 추진

작성자 이미지
김미래 기자

2025.02.15 (토) 16:20

대화 이미지 2
하트 이미지 3

State Street와 Citi가 기관 투자자를 위한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State Street는 내년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Citi는 자체 커스터디 서비스 개발과 파트너십 체결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State Street·Citi,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도입 추진 / 셔터스톡

State Street와 Citi가 기관 투자자를 위한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세계 최대 커스터디 은행 중 하나인 State Street는 내년부터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State Street는 기존에 주식과 채권 같은 전통 자산의 커스터디 서비스를 담당해 왔으며, 이번 암호화폐 시장 진출을 통해 디지털 자산 관리 부문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BNY멜론도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BNY멜론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넘어 더 다양한 토큰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통 금융기관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은 은행권에 국한되지 않는다. 코인베이스(Coinbase) 역시 일부 은행과 암호화폐 거래 및 커스터디 협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iti도 암호화폐 시장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 내 자산 규모 기준 세 번째로 큰 은행인 Citi는 독자적인 커스터디 서비스 개발과 외부 기업과의 협력을 동시에 추진하는 '이중 접근 전략'을 고려 중이다.

Citi의 이러한 행보는 최근 진행된 디지털 자산 실험과 맞물려 있다. Citi는 웰링턴 매니지먼트(Wellington Management) 및 위즈덤트리(WisdomTree)와 협력해 프라이빗 펀드의 토큰화를 위한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 PoC)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아발란체(Avalanche) 블록체인의 기관용 테스트넷인 Spruce에서 진행됐으며, ABN AMRO가 전통적인 투자자의 역할을 시뮬레이션했다.

Citi는 이번 실험을 통해 프라이빗 펀드 시장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펀드 배포 규칙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자동화하는 가능성을 검토했다. 또한, 해당 펀드 토큰을 대출 계약에서 담보로 활용하는 방안도 테스트했다.

암호화폐 산업 전문가들은 Citi와 같은 대형 은행의 커스터디 서비스 도입이 예상된 움직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갤럭시디지털(Galaxy Digital)의 리서치 총괄 알렉스 손(Alex Thorn)은 올해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에 대한 기관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규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뀌면서 대형 은행들이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갤럭시디지털이 2025년 예측 보고서에서 언급한 주요 커스터디 은행 중 현재까지 JP모건(JP Morgan)만이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를 발표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향후 더 많은 은행이 암호화폐 시장에 가세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2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사계절

00:12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2.16 00:12:2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5.02.15 16:35:49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