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워런 미 상원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를 강하게 비판하며 소비자금융보호국(CFPB) 해체에 반대하고 나섰다. 워런 의원은 두 사람이 금융 규제 완화를 통해 소비자 보호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NPR 보도에 따르면, CFPB는 최근 대규모 정리 해고를 단행했으며 약 100명의 직원이 해고 통지를 받았다.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CFPB 국장 러셀 보트가 새로운 자금 지원을 차단한 이후 발생했다. 이는 머스크가 주도하는 '정부효율부(DOGE)' 계획과 맞물려 CFPB의 운영을 축소하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워런 의원은 "CFPB는 의회가 설립한 기관이며, 머스크나 트럼프가 이를 해체할 권한은 없다"고 지적하며 강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녀는 또한 CFPB가 거대 금융기관의 사기 행위를 밝혀내 소비자들에게 약 210억 달러(약 30조 4,500억 원)를 돌려줬다고 강조했다.
워런 의원은 머스크가 운영하는 X(구 트위터)가 금융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CFPB가 장애물이 되자 이를 제거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마치 은행 강도가 경찰을 해고한 후 은행에 들어서는 것과 같다"고 비꼬았다.
한편, 워런 의원은 암호화폐 규제에도 목소리를 높이며 테더(USDT)의 불법 사용 문제를 지적해왔다. 그녀는 트럼프 정부의 상무장관 지명자인 하워드 루트닉과 테더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 측의 암호화폐 관련 움직임에 대한 비판도 거세다. 최근 트럼프와 연계된 밈코인이 급락하며 투자자들이 20억 달러(약 2조 9,000억 원) 상당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의 헤스터 피어스 위원은 밈코인이 SEC 관할이 아니라 의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산업 내에서는 워런 의원이 금융 규제와 관련해 지나치게 보수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반발도 있다. 그러나 그녀는 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CFPB 존폐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융 및 암호화폐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