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려는 움직임이 정치적 도구로 변질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투자사 메일스트롬(Maelstrom)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아서 헤이즈(Arthur Hayes)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매입해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보유하는 것은 업계에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암호화폐 업계 일부는 정부가 달러를 찍어 비트코인을 사들이길 바라고 있지만, 이는 잘못된 방향"이라며, 비트코인은 정치적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헤이즈는 "정부가 비축한 100만 BTC는 단순한 서명 하나로 언제든 매각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가격 변동성과 정치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보유하면 가격이 폭등하는 것은 맞지만, 보유 여부는 경제적 판단이 아니라 정치적 결정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6년까지 인플레이션을 통제하지 못하고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민주당이 정치적 반격을 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미국 내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정치적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비트코인 국가 비축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도 나왔다. 자산운용사 반에크(VanEck)는 비트코인을 통한 국가 자산 축적이 미국의 국가 부채를 2049년까지 35% 줄일 수 있다고 전망했으며,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회장도 비트코인 보유가 달러를 더욱 강력하게 만들고, 미국이 21세기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이 정치적 이슈로 떠오른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새로운 국부펀드 설립을 발표한 이후다. 이어 공화당 소속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이 비트코인 비축 법안을 제출하면서 논란에 불을 붙였다.
한편, 예측시장 플랫폼 폴리마켓(Polymarket)과 칼시(Kalshi)에 따르면, 2025년까지 미국이 비트코인 국가 비축을 도입할 확률은 각각 46%와 58%로 나타났다. 이는 정치적 움직임과 시장의 기대감이 비트코인 정책의 향방을 결정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헤이즈는 과거에도 정부 개입에 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지난해 그는 현물 비트코인 ETF가 승인될 경우 장기적으로 비트코인 생태계를 해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그는 "비트코인이 기관의 금고에 갇히면서 유통량이 줄고, 이는 채굴자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며, 결국 네트워크 자체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