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보안기관이 5일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AI 챗봇 딥시크(DeepSeek)의 정부 기기 사용을 전면 금지하며 민감 정보 유출과 악성코드 위험을 경고했다.
5일(현지시간) 코인라이브에 따르면, 앤드류 찰턴(Andrew Charlton) 정부 사이버보안 특사는 "정부 시스템을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노출시키고 싶지 않다"며 정부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국가 보안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른 이번 결정은 딥시크를 통해 업로드된 정보가 비공개로 유지되지 않고 악성코드에 취약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다.
스테파니 포스터(Stephanie Foster) 내무부 장관은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의 보안 위험"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모든 비기업 연방 기관은 시스템과 모바일 기기에서 딥시크를 제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딥시크는 미국의 주요 AI 기술과 비슷한 성능을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해 주목받았으나, 해외에서도 면밀한 조사를 받고 있다.
한국, 이탈리아, 프랑스, 아일랜드, 대만 등 여러 국가가 딥시크의 데이터 처리 관행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의 데이나 맥케이(Dana Mckay) 사이버보안 연구원은 "모든 중국 기업은 자국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며, 이 모든 데이터는 중국 정부의 조사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맥케이 연구원은 또한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개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키스트로크 데이터를 수집한다고 밝혔다고 언급했다.
딥시크에 대한 이번 조치는 이탈리아와 대만의 유사한 조치와 맥을 같이하며, 2018년 화웨이(Huawei) 금지와 2023년 정부 기기에서의 틱톡(TikTok) 금지와 같은 과거의 결정을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조치는 중국과 호주 간의 오랜 기술 및 무역 분쟁 속에서 외국 기술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는 광범위한 패턴의 일부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