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네트워크의 평균 블록 크기가 최대 4MB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멤풀 리서치(Mempool Research)는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의 평균 블록 크기가 최근 1.5MB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인스크립션’(inscription) 기술 채택이 확대될 경우 최대 4MB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인스크립션은 블록 내부에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된다. 비트코인은 지난 2021년 '탭루트(Taproot) 업그레이드' 이후 블록당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용량이 증가했으며, 일부 블록의 데이터 크기는 최대 2.4MB까지 기록한 바 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가 인스크립션의 채택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면서 "활발한 도입이 이뤄질 경우 블록 크기는 최대 4MB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블록체인 데이터도 2026년 말에는 1TB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보다 현실적인 예상 시나리오는 2027~2029년 사이 1TB에 도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비트코인은 본래 단순한 'P2P 결제 네트워크'로 시작됐으나, 탭루트 업그레이드 이후 복잡한 데이터 저장, 탈중앙화 금융(DeFi) 및 NFT 발행 등 다양한 활용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확장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경쟁 블록체인에 비해 뒤처진다는 평가도 나온다. 솔라나(SOL) 네트워크는 블록당 최대 128MB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최근 출시된 블록체인 프로젝트 셀레스티아(Celestia)는 1GB 블록을 목표로 확장 계획을 발표하는 등 타 네트워크들의 기술 발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인스크립션 기술 도입이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를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향후 비트코인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적 논의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