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제한적인 보복 조치를 발표했다.
중국은 오는 2월 10일부터 석탄 및 액화천연가스(LNG) 제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고, 원유, 농업 기계, 대형 엔진 차량 등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매길 예정이라고 2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양국 간 무역 전쟁으로 치닫을 위기를 회피할 여지를 일부 남겨둔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에 따르면 이번 주 안으로 두 국가 정상 간 전화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중국은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신호를 보이고 있다. 관계 개선 시도가 여전히 진행 중인 가운데, 이러한 조치는 향후 대화를 위한 전략적인 포석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치의 범위는 트럼프가 전체 중국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한 것에 비해 한정적이다. 분석가들은 중국이 국내 경제를 보호하면서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신중한 계산 아래 이번 조치를 발표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중국이 타격을 받더라도 현재는 충분히 견딜 여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트럼프가 캠페인 중 언급했던 60% 수준까지 관세를 강화하거나 관세를 협상 도구로 반복적으로 활용할 경우 중국은 새로운 대응 전략을 강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과거 양국 간 무역 협정은 큰 성과를 내지 못한 전례가 있다. 2018년부터 양측은 수천억 달러 규모의 상품에 상호 관세를 부과했으며, 2020년에는 중국이 매년 2천억 달러(약 290조 원) 규모의 미국 제품을 추가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이 계획은 좌초되었고,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적자는 여전히 3,610억 달러(약 523조 원)에 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이번 협상에서 단순한 관세 부과를 넘어선 다양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는 무역전쟁이 격화할 경우를 대비한 준비 작업으로 보인다. 이번 주 양국 지도자가 어떤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