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 국가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미 하원 초당적 특별위원회의 보고서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딥시크가 미국 사용자들의 정보를 중국 본토로 유출하고 있으며, 불법적으로 확보한 데이터를 통해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켰다고 지적했다.
미중 전략경쟁 특별위원회는 현지시간 16일 발표한 자료에서, 딥시크가 오픈소스 인텔리전스 자산으로 활용되며 중국 공산당에 전략적으로 이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오픈AI(OpenAI)와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기술을 무단 사용했다는 혐의가 핵심이다. 위원회는 딥시크가 오픈AI의 모델 보호 기능을 우회해 지능적 추론 결과값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사의 R1 모델을 신속히 개발했다고 밝혔다.
딥시크 R1은 출시 직후 국내외 AI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 모델은 추론 역량에서 오픈AI 및 안트로픽 같은 미국의 주요 기업들을 상회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오픈AI 측은 딥시크가 자사 모델의 출력 결과를 모방하는 ‘지식 증류’ 방식으로 이를 구현했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데이터를 재가공하거나 R1의 응답을 채점하는 데 오픈AI 모델이 활용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위원회는 딥시크가 자사 챗봇 서비스를 통해 미국 내 이용자들의 민감 정보를 무제한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를 통해 직접 수집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R1 자체는 오픈소스 모델이기 때문에 전 세계 어디에서나 실행이 가능한 구조이며, 이미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META) 등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딥시크의 R1 모델이 민주주의, 대만, 홍콩 관련 이슈에 대해 의도적으로 정보를 검열하고 있으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명시하지 않는다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여기에 딥시크 창립자 리앤 원팡이 중국 공산당 중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시진핑 사상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꼽혔다.
이번 보고서에 대해 백악관은 아직 직접적인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조치는 이미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3월 미국 정부는 딥시크의 앱을 연방공무원들이 사용하는 기기에서 차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알려졌고, 최근에는 엔비디아(NVDA)의 대중국 GPU 수출을 사실상 중단시키는 추가 제재가 부과됐다. 특히 미국 정부는 딥시크가 R1 개발에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H20 GPU를 수출하려면 별도의 허가를 받도록 했으며, 이는 사실상 금수 조치로 간주된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기술 통제가 딥시크의 속도 저지보다는 중국 내 자체 AI 생태계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딥시크는 제한된 연산 자원에서도 고성능 모델을 구현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한 바 있어, 기술 자립 가속화를 이끄는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