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이 난민 지원과 기아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5일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에 기조연설자로 나선 후만 하다드 세계식량계획(WFP) 신기술책임자는 ‘블록체인을 통한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에 대해 소개했다. WFP는 국제연합(UN) 산하 기구로, 인도주의적 식량 지원을 통한 기아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있다.
그는 "전통적으로 인도주의적 지원은 쌀, 옥수수와 같은 현물 형태로 제공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현금 기반의 CBT(현금기반지원)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WFP의 경우 연간 지원금액이 2009년 1,000만 달러에서 2018년 17억 달러로 상승했으며, 매년 78% 증가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많은 지원 단체들은 수혜자에게 CBT를 통해 직접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물 대신 현금을 지원하게 되면 난민이 원하는 식량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고, 이는 수혜자의 존엄성을 고취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 외부에서 식량을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비용 절감과 더불어 지역 경제 활성화 등의 이점이 있다.
반면에 현금 지원이 갖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어떤 단체가 얼만큼을 제공하는지 알기 어렵고, 받은 사람이 또 받는 중복 수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원 단체 간에 협업이 더욱 절실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이러한 기부 시스템에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는 “향후 암호화폐를 통한 기부가 활성화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라며 “또 누가 어떤 지원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유돼 지원이 절실한 구호 대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수혜자가 필요로 하는 다른 국제기구와도 연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기부 프로세스에 암호화폐를 도입하면 기존 금융시스템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각국으로부터 제각각의 화폐로 들어오는 기부금은 달러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높은 수수료와 더불어 오랜 시간이 걸리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해왔다.
그는 “각국 정부의 법정화폐와 연동되는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국제적인 규제 합의안이 도출되고, 암호화폐 관련 문제들이 해결되면 WFP도 암호화폐를 도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