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홍콩에 이어 본토 암호화폐 시장 개방을 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일고 있다.
31일 중국 상하이 경제정보화위원회는 글로벌 블록체인 거래소 허브 구축 계획을 발표하며 사회 다방면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도시 블록체인 디지털 인프라 시스템 추진 계획'의 일환으로 양자 암호화 프라이버시 컴퓨팅 등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된다.
앞서 지난 5월부터 상하이는 정부 차원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혀온 바 있다.
지난 5월 17일에는 관계자가 공식 채널을 통해 "국가 행정 부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고효율 플랫폼 서비스 체계 구축을 추진할 것"이라며 납세 서비스, 시장 모니터링, 민생 서비스, 재정 서비스 부문 등이 언급됐다.
베이징시 역시 국가 블록체인 혁신센터 유치를 주진한 바 있다. 베이징시는 2023년 시정부 중점 업무리스트를 발표하며 "데이터 중심 최적화 향상과 컴퓨팅 센터 배치를 강화한다"고 설명했으며 상하이와 마찬가지로 블록기술과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언급했다.
중국 대표 도시들의 블록체인 개방 정책에 중국 본토 내에서 암호화폐가 다시 성행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일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애초에 홍콩 시장 개방이 주목 받던 이유도 중국의 개방 전 일종의 '트라이얼(시도)'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미국 규제 당국이 공격적인 대응을 이어가는 이 때 중국이 개방하면 얻을 반사이익이 상당하다"고 답했다.
그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도 언급했다. CBDC 정책은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의 일환, 혹은 연장선으로도 꼽히고 있을만큼 위안화의 동남아시아, 남아시악 지역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 지배적이다.
관계자는 "여러 정황을 미루어봤을 때 중국은 탑 투 바텀(top to bottom)의 형태로 단계적 개방정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의 통제가 전제가 되면 시장 개방을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