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켄 신임 CEO, 암호화폐 차세대 트렌드 5가지 제시]
미국 투자 전문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크라켄 신임 CEO 데이비드 리플리(David Ripley)가 암호화폐 시장의 차세대 트렌드 5가지를 제시했다.
1. 디파이 및 NFT 성장세 예상
2. 국경 간 결제 활용 사례 가시화
3. 분산형 스토리지 성장 전망...파일코인이 좋은 예
4. 유명 핀테크 업체의 시장 유입...페이팔, 스퀘어, 로빈후드 등
5. 셀프 커스터디 수요 증가
[폴리곤 TRUMP 러그풀 정황...토큰 가격 -90%]
펙쉴드에 따르면 폴리곤 기반 TRUMP 토큰 러그풀이 발생해 토큰 가격이 90% 하락했다. 스캐머는 바이낸스에서 1129 MATIC을 인출한 뒤 TRUMP 컨트랙트를 생성했고, 3일 전 1000 MATIC을 풀에 추가했다. 이후 지난 22시간 동안 유동성을 제거했다.
[코인원, 플러스 ETH 2.0 스테이킹 출시]
코인원이 12월 21일 플러스 ETH 2.0 스테이킹을 출시한다고 공지했다. 모집은 12월 21일 15시 시작된다. 최소신청수량은 0.01 ETH고, 최대신청수량은 32 ETH다. 플러스 ETH 2.0 스테이킹에 참여한 ETH는 위임신청 후 이더리움 재단의 ‘상하이 업데이트’를 통한 리워드 분배 완료 시까지 위임 자산과 리워드의 입출금 및 거래지원이 제한된다.
[에드워드 스노든 "트위터 대표직 맡겨주면 BTC로 월급 받고 일하겠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기밀자료를 폭로한 내부고발자 에드워드 스노든이 "내게 트위터의 CEO 자리를 맡겨준다면 비트코인으로 월급을 받으며 일하겠다"고 트윗했다. 그는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위터의 다른 CEO를 찾는 것은 문제가 아니지만, 트위터가 생존할 수 있도록 할 CEO를 찾는 것이 문제"라는 트윗도 함께 게시했다.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 대표직 사임 여부에 대한 서베이를 진행 중이다. 현재 사임 찬성률은 56.3%다. 투표는 약 5시간 뒤에 종료된다.
[카카오 '클립'에 이더리움도 담는다…멀티체인 지원]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엑스가 가상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클레이튼과 이더리움 기반의 모든 자산을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지원하는 멀티체인과 오픈월렛 정책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클레이튼 기반 자산을 넘어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 및 NFT까지 지원한다. 특히 기존의 별도 등록 절차 없이 클레이튼과 이더리움 기반의 자산이면 모두 보관 및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확인 배지’와 ‘차단 배지’ 시스템을 도입해 클립에 노출되는 여러 자산에 대해 이용자들이 한 눈에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멀티체인과 오픈월렛 정책은 클립 앱에서 먼저 적용되며, 카카오톡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클립 서비스에는 추후 적용 예정이다.
[로이터 "보험사들, FTX 리스크 노출 기업 보험 가입 기피"]
보험사들이 FTX 리스크에 노출된 기업들을 비롯해 여러 암호화폐 기업의 보험 가입을 꺼리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미디어는 "현재 보험사들은 FTX 리스크에 노출된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더 많은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번 사태에 따른 피해를 보험 처리해주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일부 보험사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FTX에 투자한 자금이 있는지 여부 등도 조사하고 있다. 또 보험사들은 이제 보험 계약서에 FTX와 거래를 했거나, 암호화폐 등에 투자하는 기업의 경우 손실 책임이 기업 측에 있다는 보험 지급 예외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보험사에게는 안전장치 역할을 하고, 암호화폐 기업에게는 보험 가입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빗썸, TRX 및 트론 기반 가상자산 입출금 일시 지연]
빗썸이 트론(TRX) 및 트론 네트워크 기반 가상자산의 데몬 업데이트 및 동기화를 위해 일시적으로 입출금 서비스가 지연되고 있다고 공지했다. 데몬 업데이트 및 동기화가 완료되는대로 순차적으로 입출금이 진행될 예정이다.
[카우이 올리베리아 "후오비, 준비금 내 HT 비중 43%...재정 건정성 빨간불"]
크립토퀀트 분석가 카우이 올리베리아(Caue Oliveria)가 "후오비의 준비금 증명 약 30억 달러 중 43.3%가 후오비의 자체 토큰인 HT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자체 토큰은 발행 목적의 진실성(veracity)을 의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건전성에 좋지 않다. FTX가 FTT를 이용해 담보 대출을 한 것이 붕괴의 원인이었는데 후오비 역시 이같이 위험한 게임을 벌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탐앤탐스, NFT 에그리게이터 HEYST 론칭]
커피전문점 탐앤탐스가 NFT 에그리게이터 마켓 'HEYST'를 출시했다. 에그리게이터는 여러 마켓에서 판매 중인 상품들을 한데 모아 놓은 플랫폼이다. HEYST는 세계 최대 NFT 마켓 오픈씨(OpenSea)를 비롯 업계 2, 4위 NFT 마켓인 X2Y2와 룩스레어(LooksRare)의 가격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신규 NFT 프로젝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민팅 캘린더' 기능까지 갖추었다. 그 결과 HEYST 이용자는 속도적인 측면에서 NFT 거래 정보의 우위를 점하고,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여 안전한 투자 계획을 세울 수 있다. HEYST는 더욱 다양한 NFT 마켓의 가격 정보를 전달하고, 이더리움 체인을 활용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클라우드 이슈' OKX, 입출금 재개]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X가 입출금을 재개한다고 공지했다. 현재 BTC(메인넷), ETH(메인넷), TRX(메인넷), USDT(ERC20/TRC20), USDC(ERC20/TRC20) 및 기타 TRC20 및 ERC20 토큰의 입출금이 재개된 상태이며 그 외 암호화폐 입출금은 오늘 16시(한국시간) 재개된다. 앞서 OKX를 포함 게이트아이오, 엘뱅크(LBank) 등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는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서버 문제로 인해 입출금, 거래 등 서비스가 먹통됐다.
[밀크, 에어아시아와 포인트 교환 제휴]
밀크 운영사 밀크파트너스는 밀크와 에어아시아 간 포인트 교환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밀크 사용자는 밀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에어아시아 '슈퍼앱'에서 적립된 '에어아시아 포인트'를 가상자산 밀크(MLK) 토큰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 밀크 토큰을 통해 롯데멤버스, 야놀자, 신세계인터넷면세점, CU, 인터파크, 메가박스, 진에어 등 기존 밀크의 제휴사 포인트로도 교환할 수 있다.
[이스라엘 사법부, 블랙리스트 월렛 내 모든 암호화폐 압수 허용]
이스라엘 사법부가 블랙리스트에 오른 150여개 디지털월렛 내 모든 암호화폐 압수를 허용하는 판결을 내렸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베니 간츠 이스라벨 국방장관은 "최근 법원이 이슬람 무장단체 하마스와 연계된 디지털월렛에서 3만3500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추가로 압수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판결 이전에는 테러 활동과 직접 연계된 디지털자산만 압수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해당 월렛에 보관된 모든 암호화폐를 압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앞서 2월 이스라엘 당국은 하마스 연계 거래소 계정 12개의 30개 월렛도 압수한 바 있다.
[빗썸, 오늘 12시 LN 입출금 일시 중지...메인넷 전환]
빗썸이 링크(LN) Finschia 메인넷 전환에 따라 오늘 12시 LN 입출금을 일시 중지한다고 공지했다.
[바이낸스 "빅4 회계법인, 바이낸스 준비금 증명 감사 의사 없어"]
록웍스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딜로이트(DTT), 언스트앤영(EY), KPMG,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등 빅4 회계법인이 바이낸스 준비금 증명 감사를 수행할 의사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바이낸스는 블록체인에 우리의 자산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할 것이며 수개월 내 추가적인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현재 준비금 증명 감사를 수행할 회계법인을 물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딜로이트는 코인베이스와 협력 중이며 EY는 최근 암호화폐 세금 및 회계 기술업체 텍스비트(TaxBit)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회계법인 마자르(Mazars)가 바이낸스를 비롯해 전세계 모든 암호화폐 클라이언트 대상 준비금 증명 감사 업무를 중단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3ac 추정 주소, 바이낸스서 2000 ETH 인출]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이 트위터를 통해 "쓰리애로우캐피털(3ac) 추정 주소가 방금 바이낸스에서 2000 ETH를 인출했다. 현재 해당 주소는 6,595 ETH(약 785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 들어 스캠 토큰 11만종 출시...지난해比 41%↑]
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리스크 모니터링 회사 솔리더스 랩스(Solidus Labs)가 보고서를 통해 올해 일평균 350종 이상의 사기성(fraudulent) 토큰이 만들어졌으며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 들어 12월 1일까지 총 117,629종의 사기성 토큰이 생성됐다. 이는 지난해 83,400개 대비 41% 증가한 수치이며 솔리더스 랩스가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20년 9월 이후 최대 수준이다. 아울러 2020년 9월 이후 현재까지 사기성 토큰 피해자는 약 200만명으로 추산된다. 사기성 토큰 유형 중에서는 올해 '허니팟'이 가장 많았다. 허니팟 스캠은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토큰 구매만 가능하고 판매가 불가능하게 설계된 프로젝트를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거래소 먹통 원인' 데이터센터 냉각장치 수리 완료"]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회사의 클라우드 허브 연동 계약 업체인 홍콩 PCCW 데이터센터 냉각장치 고장으로 인해 홍콩 기반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오류가 발생했고, 관련 플랫폼에서 15시간 가량 서버가 다운됐다"며 "현재 냉각 장치 수리를 완료했다.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들은 점차 정상적으로 돌아올 것이고, 피해를 입은 업체들에 보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OKX를 포함 게이트아이오, 엘뱅크(LBank) 등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는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서버 문제로 인해 입출금, 거래 등 서비스가 먹통됐다. 게이트아이오, 엘뱅크는 아직 완전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UAE 부동산 개발업체 MAG, USDT·USDC 결제 지원]
더핀테크타임즈에 따르면 아랍에미레이트(UAE) 부동산 개발업체 MAG가 바레인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메나(Coinmena)와 파트너십을 체결, USDT와 USDC 결제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메나(Coinmena)는 6월 두바이 가상자산규제당국(VARA)으로부터 임시 가상자산 라이선스를 확보해 아랍에미리트(UAE) 내에서 서비스 제공을 시작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