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현재 오라클 시장 현황과 레드스톤

포필러스(Four Pillars)

2025.02.11 18:25:55

Written by Heechang

 

Key Takeaways

 

- 디파이 생태계가 성장하면서 디파이 프로토콜의 종류 및 기반 네트워크의 수는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채로운 오라클 생태계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 오라클은 기본적으로 오프체인의 데이터를 온체인에 가져오는 역할을 하지만, 오라클 프로젝트들마다 고유의 차별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글에선 레드스톤(RedStone)을 체인링크 및 피스 네트워크(Pyth Network)와 비교하여 어떠한 비교 우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1. 배경 - 다채로운 오라클 생태계의 필요성

 

1.1 디파이 생태계의 성장

 

Source: Oracles - DefiLlama

 

디파이 생태계는 지난 5~6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걸쳐 눈 부시게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생태계 초기에는 DEX, 렌딩 프로토콜과 같이 기본적인 형태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주를 이뤘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메이커다오(MakerDAO), 유니스왑(Uniswap), 컴파운드(Compound), 아베(Aave),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 등이 있다. 당시에는 디파이 프로토콜의 수가 매우 적었으며, 오라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 자체 오라클을 활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았다 (예: 유니스왑 V1).

 

디파이 생태계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게 된 촉매가 된 것은 2020년 디파이 섬머이다. 2020년 6월, 컴파운드가 COMP 토큰의 유동성 채굴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이 토큰 인센티브를 받기 위해 참여했다. 이를 본 스시스왑(Sushiswap), 유니스왑, 얀 파이낸스(Yearn Finance) 등 수 많은 프로토콜들이 토큰을 출시하며 디파이 생태계는 유례없던 성장을 이뤘다.

 

디파이 생태계가 크게 성장하고, 디파이 프로토콜의 수도 많아지면서 오라클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특히 오라클 생태계는 보안과 관련한 이유때문에 급격한 성장을 이뤘는데 2019년 6월 신터틱스(Synthetix)가 오라클 공격으로 $37M을 탈취당하고, 2020년 2월 bZx 또한 오라클 공격을 당하는 등 공격 사례가 늘어나자, 이 시기에 Chainlink를 비롯한 다양한 오라클들이 성장했다.

 

현재는 리퀴드 스테이킹, 리스테이킹, 레버리지 상품, 파생 상품 등 굉장히 다양한 종류의 디파이 프로토콜들이 존재하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디파이 프로토콜들은 다양한 종류로 존재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서비스 종류 및 기반 블록체인의 다양성과 복잡성은 겉잡을 수 없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프로토콜들의 보안을 위해 다채로운 오라클 생태계의 필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본 글에선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체인링크와 피스 오라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이러한 오라클 생태계에서 레드스톤이 어떻게 차별점을 가질 수 있을 지 비교 분석해볼 예정이다.

 

참고로 글을 읽기 전에 풀 오라클(Pull Oracle), 푸쉬 오라클(Push Oracle)과 같이 오라클과 관련된 기본 개념 및 레드스톤 오라클의 개요에 대해선 "레드스톤이 탄생한 이유”을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1.2 체인링크

 

체인링크는 최초의 탈중앙 오라클 네트워크이며, 현재도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오라클 프로젝트이다. 현재는 온체인과 오프체인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개하는 오라클 프로덕트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간 크로스체인 메시징 서비스나(CCIP), 블록체인 위에서의 연산을 도와주는 체인링크 펑션 등도 같이 지원한다.

 

오라클과 관련해서 체인링크는 2가지 프로덕트를 지원한다:

 

- 마켓과 데이터 피드(Market and Data Feeds)

 

-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

 

1.2.1 마켓과 데이터 피드 (Market and Data Feeds)

 

체인링크의 가장 기본적이자 대표적인 오라클 서비스로, 온체인에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푸쉬 오라클 방식을 사용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총 4가지 종류의 데이터 피드를 지원한다:

 

- 가격 피드(Price Feeds): 다양한 자산의 가격 데이터를 온체인에 제공한다.

 

- 스마트 데이터 피드(SmartData Feeds): RWA 유즈케이스에 특화된 데이터 피드이다.

 

- 이자/변동성 피드(Rate and Volatility Feeds): 이자율, 이자율 곡선, 자산 가격 변동성 등에 특화된 데이터 피드이다.

 

- 레이어2 시퀀서 업타임 피드(L2 Seqeuncer Uptime Feeds): 레이어2 프로젝트 시퀀서의 최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피드이다.

 

Source: Chainlink

 

체인링크의 다양한 데이터 피드들은 특정한 다수의 체인링크 오라클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각 데이터 피드를 업데이트하는 오라클 오퍼레이터들의 종류와 수는 데이터 피드별로 다르다. 예를 들어 BTC/USD 피드는 위 그림과 같이 31명의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관리된다.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자산의 가격 변동이 특정 수준을 벗어나면 오퍼레이터들은 각자 가격 데이터를 보고한다.

 

체인링크의 마켓과 데이터 피드는 현재 18개의 EVM 네트워크에서 1098개의 피드를 지원하고 있다.

 

1.2.2 데이터 스트림(Data Streams)

 

데이터 스트림는 풀 오라클 방식을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데이터가 필요하든 말든, 느린 주기로 온체인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푸쉬 오라클 방식과 달리, 풀 오라클은 디앱이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체인링크의 데이터 스트림은 현재 13개의 네트워크에서 122개의 자산을 지원하고 있다. 참고로 13개의 지원 네트워크 중 10개는 EVM 네트워크(아비트럼, 베이스, 스크롤 등등)이며, 나머지 1개는 솔라나 네트워크이다.

 

1.3 피스 네트워크

 

피스 네트워크는 풀 오라클 방식 기반의 오라클 프로토콜로, 체인링크와 같이 데이터가 오퍼레이터를 거치는게 아닌, 퍼스트 파티 퍼블리셔가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DEX, CEX, MM, 헤지펀드 등 다양한 주체들이 피스 네트워크의 퍼스트 파티 퍼블리셔로 참여하고 있다.

 

퍼스트 파티 퍼블리셔는 피스의 오라클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제공하면, 오라클 프로그램은 다수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단일 가격 데이터로 모은다. 오라클 프로그램은 피스넷(Pythnet)에서 실행되고, 피스넷에서의 최종 데이터는 타겟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웜홀을 통해 크로스 체인방식으로 전달된다. 피스넷은 피스 네트워크 오라클을 위한 앱 특화 (application-specific) 블록체인으로, 솔라나 클라이언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나 솔라나 메인넷과 별개의 네트워크이다.

 

피스 네트워크는 현재 70개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850개 이상 자산의 가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오라클 시장 현황과 레드스톤”과 관련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4pillars.io/ko/issues/the-current-oracle-landscape-and-redstone


 

추천

0

포필러스(Four Pillars)

블록체인 리서치 회사 (Blockchain Research Firm)

블록체인 산업의 최신 동향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글로벌 리서치 기업입니다.

포필러스(Four Pillars)님의 다른 리서치

더보기
인프라

플룸 네트워크가 그리는 RWAfi의 미래

마켓

4조원 NFT 브랜드의 새로운 도전, 앱스트랙트가 바라보는 블록체인의 미래

마켓

바이오 프로토콜과 탈중앙화 과학의 미래

인프라

레드스톤이 탄생한 이유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코인 이미지 Bitcoin (BTC)
138,668,240 (-2.22%)
코인 이미지 Ethereum (ETH)
3,793,103 (-3.05%)
코인 이미지 Tether USDt (USDT)
1,453 (-0.02%)
코인 이미지 XRP (XRP)
3,493 (-1.56%)
코인 이미지 Solana (SOL)
285,741 (-3.18%)
코인 이미지 BNB (BNB)
916,694 (+2.79%)
코인 이미지 USDC (USDC)
1,453 (0.00%)
코인 이미지 Dogecoin (DOGE)
365.1 (-1.38%)
코인 이미지 Cardano (ADA)
1,106 (+7.98%)
코인 이미지 TRON (TRX)
351.4 (-0.24%)
왼쪽
2025 2월  11(수)
오른쪽
진행기간 2025.02.11 (화) ~ 2025.02.12 (수)

44명 참여

정답 86%

오답 14%

진행기간 2025.02.10 (월) ~ 2025.02.11 (화)

49명 참여

정답 78%

오답 22%

진행기간 2025.02.07 (금) ~ 2025.02.08 (토)

44명 참여

정답 82%

오답 18%

진행기간 2025.02.06 (목) ~ 2025.02.07 (금)

42명 참여

정답 79%

오답 21%

기간 2024.08.30(금) ~ 2024.09.21(토)
보상내역 $10 상당의 밈코인 ($BOME, $DOGE, $MEW, $PEPE, $TRUMP 택1)
신청인원

35 / 200

자이언트맘모스(GMMT) 일반 마감

[Episode 15] GM Wallet 다운받고, GMMT 에어드랍받자!

기간 2024.08.09(금) ~ 2024.08.16(금)
보상내역 500 GMMT 에어드랍 (500명)
신청인원

101 / 500

자이언트맘모스(GMMT) 일반 마감

[Episode 14] GM Wallet 다운받고, GMMT 에어드랍받자!

기간 2024.08.01(목) ~ 2024.08.07(수)
보상내역 500 GMMT 에어드랍 (500명)
신청인원

32 / 500

기간 2024.07.18(목) ~ 2024.07.28(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총 1000 USDT 에어드랍
신청인원

41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