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결제은행이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의 연결이 심화됨에 따라 리스크를 봉쇄하는 강력한 규제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업계는 해당 권고가 무지하고 위험하다며 즉각 반발했다.
19일(현지시간) 더블록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암호화폐와 디파이(DeFi)가 전통 금융과 실물 경제에 미치는 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 '봉쇄(contain)'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암호화폐와 탈중앙화 금융: 기능과 금융 안정성에 대한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이번 보고서는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와 실물 자산 토큰화 등으로 전통 금융과 디파이 간 연결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보고서는 암호화폐 전면 금지가 바람직하거나 실현 가능하지 않다고 명시하면서도, 관련 리스크가 기존 금융 시스템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규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BIS 보고서는 외부효과에 따른 리스크를 경고하며, 암호화폐와 디파이의 구조적 투명성에도 불구하고 정보 비대칭성이 존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블록체인의 익명성은 참여자의 실명과 연결되지 않아 명예 리스크를 줄이고, 더 큰 위험을 감수하도록 유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디파이가 전통 금융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만큼 적절한 정보 공개, 고객확인의무(KYC), 운영자의 최소 자격 기준 적용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이에 대해 코인펀드(CoinFund) 대표 크리스토퍼 퍼킨스는 "이번 보고서는 무지하고 위험하다"고 비판하며 "이 권고가 시행되면 오히려 시스템 리스크를 증폭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커브(Curve) 창립자 미하일 예고로프도 "이딴 건 보이콧하자"며 강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