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겟, 1분기 1800억 소각… BGB 공급량 대폭 감소 예고

작성자 이미지
김민준 기자
0
1

비트겟(Bitget)이 자사 유틸리티 토큰 BGB의 분기 소각 메커니즘을 온체인 실사용량 기반으로 전면 개편했다. 새 소각 모델은 중앙화(CeFi)와 탈중앙화(DeFi) 생태계를 모두 반영하며, 사용량에 따라 BGB가 자동 소각된다. 이번 분기에는 약 1,800억 원 규모의 소각이 이뤄질 예정이다.

비트겟, 1분기 1800억 소각… BGB 공급량 대폭 감소 예고 / 셔터스톡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자 웹3(Web3) 기업인 비트겟(Bitget)이 자사 유틸리티 토큰인 BGB(Bitget Token)의 분기 소각 메커니즘을 전면 개편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BGB의 온체인 실사용량을 기반으로 한 소각 모델을 도입하는 것으로, 투명성과 준법성, 토큰 가치의 지속성 측면에서 BGB 토크노믹스의 진화를 의미한다.

비트겟은 이번에 도입된 새로운 메커니즘을 통해, BGB가 ‘GetGas’ 계정을 거쳐 온체인 가스비로 사용된 양에 따라 자동 소각되는 방식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중앙화 금융(CeFi)과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 모두에서 BGB의 실질적인 사용 사례가 반영되는 동적 소각 시스템을 구축했다.

비트겟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동안 총 6,943.63 BGB가 GetGas 계정에 충전되어 온체인 가스비로 사용됐으며, 이에 따라 총 30,006,905 BGB가 소각될 예정이다. 해당 소각에 대한 모든 데이터(거래 내역 및 지갑 주소)는 온체인 상에서 완전히 공개돼 높은 수준의 투명성이 확보된다. 현재 시세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이번 소각 규모는 약 1,800억 원에 달한다.

비트겟의 CEO 그레이시 첸(Gracy Chen)은 “BGB는 중앙화와 탈중앙화 생태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온체인 실사용 기반의 소각 모델을 도입함으로써 BGB의 채택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토크노믹스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BGB는 비트겟 생태계 전반에서 핵심적인 유틸리티 토큰으로 사용된다. 거래소 및 지갑 서비스에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되며, 보유자는 스테이킹을 통해 패시브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Launchpool과 PoolX를 통한 인기 토큰 에어드롭 참여는 물론, Launchpad 및 LaunchX를 활용해 유망한 웹3 프로젝트에 초기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아울러 BGB는 멀티체인 가스비 결제 수단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VIP 등급 업그레이드, 수익 공유 등 다양한 프리미엄 기능을 통해 생태계 내 전반적인 사용자 혜택이 강화되고 있다.

비트겟은 지난 1월, 팀 보유분 8억 개의 BGB를 영구 소각하며 전체 공급량의 40%를 감축했다. 이에 따라 BGB의 총 공급량은 12억 개로 줄었으며, 현재는 전량이 시장에 유통 중이다.

BGB는 2021년 7월 0.0585 USDT에 처음 출시된 이후, 2024년 12월에는 8.5 USDT의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누적 수익률 100배 이상을 달성했다. 현재 BGB는 CoinMarketCap 기준 CEX(중앙화 거래소) 기반 토큰 가운데 시가총액 3위, 전체 암호화폐 기준으로는 상위 30위 내에 포함돼 있다.

비트겟은 리오넬 메시와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시작으로, 스페인 프로축구 라리가와의 협력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확장 전략과 암호화폐 채택 확대 흐름은 BGB 가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댓글

0

추천

1

스크랩

Scrap

데일리 스탬프

0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