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2025년 블록체인 게임, 혁신의 중심으로 떠오른다

작성자 이미지
김미래 기자

2025.02.03 (월) 17:21

대화 이미지 1
하트 이미지 2

2025년 블록체인 게임, 혁신의 중심으로 떠오른다 / 셔터스톡

플레이어들이 단순한 수익 창출보다는 몰입감 있는 게임 경험을 요구하면서, 블록체인 게임 산업은 질적 성장의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2024년은 웹3(Web3) 게임 업계가 중요한 갈림길에 놓인 한 해였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출시된 블록체인 게임의 75%가 1년 내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업계는 지속 가능성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여전히 많은 프로젝트가 토큰 기반 경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지 않는다면 블록체인 게임은 단순한 투기적 자산으로 남아버릴 위험이 크다.

2024년에도 실패한 게임들이 속출했다. NFT 기반 게임 모델을 도입했다가 결국 웹3 요소를 포기한 ‘디멘셔널스(Dimensionals)’, 내부 법적 문제와 팀 교체로 개발이 흔들린 ‘쉬라프넬(Shrapnel)’, 그리고 세 개의 연계된 게임을 동시 출시하려 했으나 플레이어 유지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루비움(Illuvium)’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러나 블록체인 게임의 본질적 가치를 살리려는 시도도 나타나고 있다. 텔레그램(Telegram)은 단순한 게임 모델에서 벗어나, ‘DRFT Party’, ‘Durov Run’, ‘Catizen’, ‘Tons of Dungeons’와 같은 몰입감 있는 게임을 선보이며 웹3 게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유비소프트(Ubisoft)의 ‘Champion Tactics’는 AAA 게임 스튜디오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플레이어에게 실제 소유권을 제공하는 방식을 입증했다.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의 ‘Off the Grid’ 역시 블록체인 기술이 게임 몰입도를 높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흐름은 기관 투자자 및 정부의 관심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디지털 경제 공사(MDEC)가 웹3 게임 플랫폼 CARV와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도 블록체인 게임을 새로운 경제 기회로 보고 있다. 이처럼 웹2(Web2) 게임 대기업, 글로벌 플랫폼, 정부 기관 등이 웹3 게임을 적극 수용하는 것은 블록체인 게임의 진정한 잠재력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플레이어들도 변화하고 있다. 단순한 ‘플레이투언(Play-to-Earn)’ 모델은 점차 사라지고, ‘플레이앤언(Play-and-Earn)’ 모델로 전환되는 추세다. 과거에는 토큰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이 주요 수익 모델이었지만, 이제 플레이어들은 토큰보다는 게임 자체의 재미와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고 있다. 단순한 소유권 개념이 아니라, 게임 내에서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아이템과 상호운용성이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웹3 게임이 성공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분명하다. 우선, 블록체인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게임의 직관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기존 웹2 게임사들과 협력해 신뢰성과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규제 환경을 명확히 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시장 확장은 어려울 수 있다.

결국, 블록체인 게임이 전통적인 웹2 게임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면, 블록체인 기술이 단순한 부가 요소가 아니라, 새로운 차원의 게임 경험을 제공하는 필수 요소임을 입증해야 한다. 2025년은 이러한 변화가 가속화되는 한 해가 될 것이며, 블록체인 게임이 ‘투기적 자산’이라는 오명을 벗고 ‘진정한 게임 산업의 혁신’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뉴스 속보를 실시간으로...토큰포스트 텔레그램 가기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옵션 시장 "비트코인, 내달 7만5000달러 하락 가능성 22%"

트럼프, 연준의 금리동결 결정에 "올바른 판단" 평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아이콘

낙뢰도

21:39

등급 아이콘

사계절

19:10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2.03 19:10:4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