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증권(STO) 시장의 개화가 점쳐지면서 증권사가 가장 큰 혜택을 얻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NH투자증권은 '토큰 증권(STO) 시장이 온다' 리포트를 통해 "디지털 자산 업체 대비 접근성, 편리성, 신뢰성이 증권사가 뛰어나다"며 "토스의 사례처럼 플랫폼 기반 사업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단기 매매수수료 수익은 작지만, 증권사의 사용자 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등 플랫폼 역량이 강화된다는 것이다.
STO 밸류체인은 크게 발행·유통·보관·솔루션으로 나뉜다. NH투자증권은 이중 유통 플레이어에 시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판단했다.
증권사별로 장외시장에서 STO의 유통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어 인프라가 핵심이다는 것이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STO의 발행과 유통을 허가하는 내용을 담은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의 추진을 발표했다.
이날 금융위는 STO의 정의와 발행·유통 구조를 발표하면서 디지털자산의 증권 판단 여부 등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형태가 토큰이라도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하는 자산이 되면 투자자 보호가 된다. 또한 증권사를 통한 STO 매매 서비스 이용도 가능해진다.
한편 국내 주요 5대 가상자산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닥사·DAXA)는 가상자산이 증권에 해당하는지를 자체 검토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이 증권으로 판명되면 발행인은 자본시장법 위반이 되기 때문이다. 닥사는 가상자산이 증권이면 거래지원을 중단하고 있다.
따라서 STO가 제도권에 편입하게 되면 투자자 보호와 함께 인프라와 금융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증권사의 역할이 커질 전망이다.
◇ STO 허용 대체 자산의 조달 추가되는 효과
증권가에서는 올해 상반기 관련 법안 제출 후 하반기 이후 제도 시행까지 금융위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STO 시장이 허용되면 대체 자산의 조달 채널이 추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유통이 어려웠던 기존의 대체 자산이 토큰화로 해결될 수 있다.
이번 발표에 대응해 각 증권사는 자사 MTS 내 상장 토큰의 매매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만약 자체 발행한 STO 상품이 해당 회사 플랫폼에서 독점 거래된다면 투자자 확보에 차별화가 생기게 된다. 이는 개인 투자자 확보와 유지로 이어진다.
NH투자증권은 "회사별 기초자산 조달 능력에 따라 더 좋은 상품을 만들 수 있게 되고 이는 고객을 유인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증권사에서는 약 2년 전부터 STO 시장에 대비해 관련 TF나 산업 리서치, 블록체인 업계 지분투자나 컨소시엄 형성을 진행해왔다.
한화투자증권은 두나무의 자회사인 람다256에 투자했고, 키움증권은 블록체인 업체 페어스퀘어랩 등에 투자했다.
SK증권은 미술품 기반 STO 상품 개발을 추진하는 열매컴퍼니에 투자를 해오기도 했다.
NH투자증권은 미술품, 음악 저작권 등을 대상으로 한 투자 아이디어는 신생 업체의 운영으로 '적은 거래량'이라는 한계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에 NH투자증권은 STO 밸류체인 내에서 키움증권과 한화투자증권에 주목했다. 키움증권은 개인투자자에게 인지도가 높아 STO 시장에서 투자자 모집에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고, 한화투자증권은 두나무와 람다256과 파트너십을 유지해 온 것을 이유로 들었다.
윤유동 연구원은 "초기 시장 특성상 제공 상품의 변별력이 작아 플랫폼의 매력도가 높을수록 고객 확보에 유리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2년 전부터 블록체인 업계와 협업을 시작한 키움증권의 수혜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