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위믹스3.0,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AQX' 합류...메인넷 무결성·보안 보장 역할]
위메이드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위믹스3.0 두번쨰 노드를 공개했다. 위메이드 공식 미디움에 따르면, 아시아 최대 퀀트 트레이딩 기업 Presto Labs가 운영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AQX의 WEMIX3.0 40 WONDERS 합류한다. 이와 함께 노드 스테이킹에 필요한 위믹스를 투자유치를 통해 확보한다. AQX는 2백만 WEMIX를 구입했으며, WEMIX3.0 노드 카운슬 파트너(NCP)의 노드 스테이킹(Node Staking)의 목적으로 위믹스를 확보했다. 또 40 WONDERS는 NCP로서 WEMIX3.0 메인넷의 거래와 블록을 검증하고 전파하며, 추가되는 노드들과의 연결을 유지하여 메인넷을 안정적으로 운영해나갈 예정이다.
점차적으로 합류하게 될 NCP 또한 한 팀을 이루는 선수들과 같이 백넘버와 함께 WONDER 넘버링이 부여된다. WONDER 2로 합류하게 될 AQX는 WEMIX3.0 메인넷의 무결성과 보안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해나가는 핵심 파트너가 될 것이라는게 위메이드 측 설명이다.
[빗썸, CYCLUB 거래 유의 안내...시세 급변동]
빗썸이 싸이클럽(CYCLUB)의 시세 변동성이 매우 큰 상태라며 거래 유의를 공지했다. 앞서 빗썸은 21일 15시 CYCLUB 거래지원을 종료한다고 전한 바 있다.
[BNB체인서 10억달러 이상 pGALA 민팅 후 덤핑... GALA 급락]
한 주소에서 갈라 컨트랙트 취약점 공격에 성공해 10억달러 이상 pGALA 토큰을 민팅, 팬케이크스왑에 던져 GALA가 급락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BSC 입금을 열어둔 후오비에 GALA를 덤핑하는 일도 벌어졌다. 현재 후오비에서 GALA 출금은 막힌 상태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크로스체인 솔루션 프로젝트 피네트워크(pNetwork)가 이번 사태와 연관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피네트워크는 피네트워크 브릿지 구성오류로 인해 BNB체인 상 pGALA 컨트랙트를 재배포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GALA 크로스체인 브릿지는 중단된 상태다.
[외신 "트위터, 암호화폐 월렛 개발 중단"]
트위터가 당초 계획했던 암호화폐 월렛 개발을 중단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구체적인 사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 10월 기술 블로거이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제인 만춘 웡(Jane Manchun Wong)이 개인 채널을 통해 트위터가 암호화폐 입출금을 지원하는 월렛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며 현재 월렛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트위터는 코인데스크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상태다. 한편, 해당 소식이 나온 직후 도지코인(DOGE)은 4% 가까이 하락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0... 공포단계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과 동일한 30을 기록했다. 공포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금감원 4급 선임역 두나무로…자금세탁 모니터링 강화한다]
업비트의 운영사인 두나무에 금융감독원 출신 공직자가 합류했다. 3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윤리위)가 공개한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결과에 따르면 두나무에 취업심사를 요청한 2건에 대해 모두 '취업승인' 결정이 내려졌다. 지난 9월 금융감독원에서 퇴직한 A씨(4급 선임)는 이달부터 두나무 사내변호사로 취업 가능하다고 결정됐다. 두나무 내 구체적인 직위는 정해지지 않았다. 2019년 12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퇴직한 임원 B씨 또한 '취업가능' 통보를 받았다. 다만 B씨의 경우,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부채 상환 자금 없다던 3AC, 990 ETH 이체 정황]
유투데이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탈(3AC) 관련 월렛에서 100만 달러 상당의 ETH 이체가 발생했다. 해당 월렛은 660 ETH를 이체 받은 후 990 ETH를 새로운 월렛으로 이체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3AC 측은 채권자들에게 상환할 자산이 남아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부채 상환을 어렵게하기 위해 자산을 다수의 지갑으로 분배하고 있을 가능성 있다고 전했다. 보도 시간 기준 3AC 공식 월렛에는 49ETH와 150만 달러 상당의 토큰이 보관되고 있다.
[바이낸스 CEO "CBDC, 암호화폐 산업에 위협 안돼"]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프로투갈 리스본에서 개최된 한 포럼에서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는 암호화폐 산업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오히려 CBDC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에 의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신뢰를 심어줄 수 있다.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다는 것은 산업적 측면에서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웹브라우저 오페라, NFT 익스플로러 툴 '데겐 노우' 출시]
웹브라우저 오페라(Opera)가 온오프체인 분석을 포함하는 새로운 NFT 분석 및 익스플로러 툴 '데겐 노우(DegenKnows)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툴은 트위터와 디스코드 등 커뮤니티에서 어떤 NFT 컬렉션이 인기가 있는지, 지인들이 소유한 NFT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고 오페라측은 설명했다
['가상자산 업권법' 속도내는 與… 연내 통과는 산 넘어 산]
국회 정무위원회가 오는 15일 법안심사 1소위를 열고 디지털자산 업권법을 비롯해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집권여당 국민의힘에서 금융당국의 입장을 반영한 법안을 제출하면서 법안 논의에 탄력이 붙게 됐다. 이 법안은 디지털자산을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로 정의하고 이용자 예치금 신탁과, 디지털자산 사고에 대비한 보험·공제가입·준비금 적립 의무화 등 이용자 자산 보호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게 핵심이다. 다만 여야 간 대치 정국에 정치 현안이 산적해 있어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BNB체인 기반 UGC 게임 아치루트, 3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 마감]
BNB체인(BNB) 기반 사용자 주도 콘텐츠(User-generated content) 게임 아치루트(ArchLoot)가 공식 채널을 통해 11월 2일(현지시간) 제3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이하 CBT)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아치루트의 이번 CBT에는 전세계 8,000 명 이상의 게이머들이 참여했으며, 최고 동시 접속자 수는 약 3,500 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CBT를 통해 NFT 내구성 시스템, 멀티플레이 모드, 보물 박스 시스템, 신규 맵, 자체 개발 마켓플레이스, 서버 용량 등을 체크했다는 게 아치루트 측의 설명이다. 앞서 아치루트는 지난 10월 20일 3차 CBT를 시작한 바 있다.
[외신 "MASK 급등, '트위터 결제 수단 추가' 관련 추측성 소문 확산 영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가 "최근 마스크네트워크(MASK)의 MASK 가격 급등은 트위터에서 MASK 토큰이 결제 수단으로 추가될 수 있다는 '추측성 소문'이 확산되고 있는 영향"이라고 3일 보도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소셜네트워크 플랫폼 트위터를 인수한 가운데, 최근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는 도지코인(DOGE), BNB, MASK 등이 결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추측이 확산되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도지파더'를 자처하며 DOGE 활성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점 ▲바이낸스가 이번 트위터 인수에 5억 달러를 출자한 점 ▲최근 FTX 일부 주요 거래소들이 MASK를 상장한 점 등이 추측의 근거로 언급되고 있다. 한편, MASK 가격은 최근 1주일 사이 약 450% 급등했으며, 코인마켓캡 기준 현재 52.91% 오른 5.6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지털 월렛 서비스 업체, 리플-SEC 소송서 리플에 유리한 의견서 제출 신청]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디지털 월렛 서비스 업체 크립틸리안 페이먼트 시스템(Cryptillian Payment Systems)이 리플을 지지하기 위해 아미쿠스 브리프(Amicus Briefs) 제출을 법원에 신청했다. 크립틸리안 측은 "SEC가 승소하면, 크립틸리안 사업을 크게 방해할 뿐만 아니라, 많은 소비자를 무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크립틸리안은 현재 XRP 결제를 지원하고 있다. 앞서 코인니스는 코인베이스, 미국 블록체인협회 등이 리플에 유리한 아미쿠스 브리프를 제출했다고 전한 바 있다.
[유가랩스 공동창업자 "곧 메타버스 개방형 표준 구축"]
유명 NFT 프로젝트 BAYC 모기업 유가랩스(Yuga Labs)의 공동 창업자인 그레그 솔라노(Greg Solano)가 디크립트와의 인터뷰에서 "메타버스 개방형 표준이 곧 구축될 것"이라고 밝혀다. 그는 "현재까지 메타버스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개방형 표준 중 일부가 곧 구축될 것이며, 나머지도 내년 중 확립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BAYC 생태계 코인 프로젝트 에이프코인(APE) 다오는 오는 11월 24일 스테이킹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클레이튼 재단, 3분기 KGF 통해 약 4,666만 KLAY 지출]
클레이튼(KLAY)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클레이튼 성장 펀드(KGF)가 3분기 약 46,668,939 KLAY를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KGF는 클레이튼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구축된 재원으로, 생태계 기여 파트너들의 성장을 위해 보조금(Grant)을 제공하거나 투자를 집행한다. KGF의 보조금 지원은 3분기 약 54 건이 집행됐으며, 총 13,713,799 KLAY가 사용됐다. 지원 대상 프로젝트에는 클레이시티, 클랩 등이 포함됐다. 또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을 통해 3분기 총 11건의 KIR 보조금 집행이 진행됐다. 사용된 KLAY는 총 496만 1,733개다. 코인마켓캡 기준 KLAY는 현재 1.65% 오른 0.245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한편, 클레이튼 재단은 현재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AMA(Ask me anything)를 진행 중이다.
[웹3 아키텍처 프로젝트 조이드페이, 젬디지털과 7500만 달러 규모 투자 계약]
웹3 아키텍처 제공 업체 조이드페이(ZPAY)가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젬 디지털(GEM Digital)로부터 7500만 달러 규모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해당 투자금은 개방형 아키텍처 개발, 메타버스 확장, 은행 인수, 웹3 슈퍼 앱 출시 등에 쓰일 예정이라고 조이드페이 측은 설명했다. 투자 소식 발표 후 ZPAY가 급등세를 나타내며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40.76% 오른 0.125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디파이의 아버지' 안드레 크로녜, 트위터서 복귀 암시...FTM 급등]
'디파이의 아버지'로 불리는 안드레 크로녜(Andre Cronje) 와이언파이낸스(YFI) 창시자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복귀를 암시하는 이미지를 게시했다. 이에 팬텀(FTM)의 FTM 토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해당 이미지에는 게임 화면으로 보이는 배경에 '다시 가보자'(Here we go again)는 자막이 포함되어 있다. 또 안드레 크로녜의 트위터 닉네임에도 '.ftm'이라는 도메인 이름이 추가됐다. ftm은 크로녜의 주도로 개발한 디파이 최적화 레이어1 블록체인 '팬텀'의 토큰 심볼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FTM은 현재 21.61% 오른 0.274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클레이튼 재단 이사장 "50억 KLAY 소각 구체적인 일정은 미확정"]
서상민 클레이튼 재단 이사장이 현재 클레이튼 코리아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진행 중인 클레이튼(KLAY) AMA에서 "앞서 발표한 미유통 리저브 50억 KLAY 소각은 아직 구체적인 일정이 확정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소각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지만, 파트너십을 통해 KLAY의 용처를 확보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좋은 파트너사를 찾아 KLAY 유틸리티를 확대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큰 파트너사들과 논의하는 데 구체적인 날짜를 확정해 말하긴 어렵다. 하지만 만약 이러한 파트너십 방안이 성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리저브 소각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클레이튼 재단은 지난 6월 미유통 리저브 중 50억 KLAY는 생태계 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하거나 소각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테라’ 권도형, “시세 조종 지시” 메시지 확보... 현재 유럽에 머물러]
KBS에 따르면 검찰이 권도형(도권) 테라폼랩스 창업자가 시세를 조종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증거를 확보했다. 앞서 테라는 1테라 가격이 항상 1달러 근방에서 움직이도록 알고리즘을 짜뒀다고 홍보해왔는데, 이런 홍보 문구가 허구였다는 것이다. 검찰은 권 대표가 알고리즘과는 무관하게 '인위적으로' 테라의 시세를 특정 목표가에 맞췄으며, 이는 주식으로 치자면 일종의 '시세 조종'이라며, 그 증거의 하나로 권 대표와 직원이 주고받은 메신저 대화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권 대표는 여권 무효화 전 마지막으로 두바이를 거쳐 제 3국으로 옮겼는데 그 장소는 유럽의 한 나라인 것으로 파악됐다.
[수이, 생태계 도메인 서비스 테스넷 오픈]
페이스북 출신 개발자들이 주축이 돼 앱토스(APT)의 경쟁 체인으로 꼽히는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수이(SUI)가 트위터를 통해 수이 생태계 도메인 서비스 '수이 네임 서비스(Sui Name Service, SuiNS) 테스트넷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SuiNS는 수이 네트워크, 스위트(Suiet)월렛, 이토스(Ethos)월렛 등과 모두 직접 연동된다. 앞서 수이는 내년 1분기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